2016년 9월 1일 목요일

다국적기업(국제기업)의 글로벌 재무리스크, 조세, 인플레이션 관리 환율변동 대응책, 환노출관리, 조세관리, 인플레이션관리

다국적기업(국제기업)의 글로벌 재무리스크, 조세, 인플레이션 관리 환율변동 대응책, 환노출관리, 조세관리, 인플레이션관리
다국적기업(국제기업)의 글로벌 재무리스크, 조세, 인플레이션 관리 [환율변동 대응책, 환노출관리, 조세관리, 인플레이션관리].hwp


목차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재무리스크, 조세, 인플레이션 관리

Ⅰ. 환율변동과 외환통제에 대한 대응책

Ⅱ. 환노출관리

1. 대내적 환노출관리방법
1) 네팅
2) 매칭
3) 리딩과 래깅
4) 사내이전가격조정/조작
2. 대외적 환노출 관리방법
1) 선물환시장을 통한 환노출관리
2) 단기금융시장을 통한 환노출관리
3) 아비론
4) 스왑금융

Ⅲ. 글로벌조세관리

1. 다국적기업의 해외운영과 현지국 조세제도
1) 현지국의 조세정책
2) 조세협정
3) 현지국이 제공하는 조세유인
2. 본사국의 해외세액공제제도
1) 직접해외세액공제
2) 간접해외세액공제

Ⅳ. 글로벌인플레이션관리

1. 인플레이션관리 과정
2.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전략


본문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재무리스크, 조세, 인플레이션 관리

다국적기업들은, 글로벌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도 글로벌재무리스크(global financial risk)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은 글로벌재무환경 요소들의 미래변화동향을 주시하고 철저히 관리한다.

1. 환율변동과 외환통제에 대한 대응책

(1) 선진국통화들도 환율변동이 심한 경우가 있다. 대부분 개도국통화들의 환율은 시시각각으로 그리고 엄청나게 변동하는 경향이 있다.
그에 따라 다국적기업들은 글로벌경영거래에서 환리스크(exchange risk)에 당면할 수도 있고, 그 반대로 환차익(exchange gain)을 올릴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환율변동에서 비롯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한 대응책 강구가 필요하다.
(2) 외환통제는 한 나라의 국제수지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선진국들은 외환통제를 거의 안하든지 적게 하는 경향이 있고, 개도국일수록 외환통제를 하는 정도가 심하다.
(3) 그런 외환통제(foreign exchange control)는, 예컨대 수출대금을 미국달러 일본 엔 등 국제결제통화로 받기 어렵게 만들고, 해외직접투자에 따른 원리금과 해외라이센싱 등에 대한 로열티소득의 해외상환을 제한하고, 본사와 해외자회사들 간 및 해외자회사들 상호간의 자금이동을 왜곡(distort)시키는 등 다국적기업들에게 불리한 영향을 미친다.
(4) 그렇기 때문에 다국적기업들은, 외환통제리스크(foreign exchange control risk)를 최소화하고 회사이득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이전가격조작 세금조작 등 재무조작(financial manipulation)을 통한 대응전략을 강구한다.

2. 환노출관리

(1) 글로벌경영활동에는 둘 또는 그 이상의 국가통화/Euro 같은 지역 통화가 개입되게 마련이다. (2) 따라서 외환을 변동에서 올 수 있는 환리스크를 최소화하고 회사이득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다국적기업들은 지속적으로 환노출관리를 한다.
(3) 환노출(foreign exchange exposure)이란 환리스크에 노출된 자산 부채 거래 등의 범위를 말하는데. 다국적기업들은 아래 두 가지 방법을 모두 환노출관리에 활용한다.



하고 싶은 말
세심하게 만든 레포트입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키워드
관리, 조세, 글로벌, 기업, 다국적기업, 다국적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