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Ⅰ. 서론 1) 환위험 개념 1. 환위험의 정의 2. 환위험의 종류 3. 환위험 관리의 필요성 2) 환위험 관리기법 1. 내부적 관리기법 2. 외부적 관리기법 Ⅱ. 본론 1) 환위험 성공사례 1. 미래와 사람 소개 2. 미래와 사람 선정이유 3. 마래와 사람의 환위험 배경 4. 미래와 사람의 환위험 극복사례 5. 미래와 사람의 환위험 후 변화 2) 환위험 실패사례 1. 한국전력공사 소개 2. 한국전력공사의 환차손 사례요약 3. 한국전력공사의 환차손의 원인 4. 한국전력공사의 환차손 상환방법 Ⅲ. 결론 1) 미래와 사람들과 한국전력 비교분석 참고자료 본문 1) 환위험 개념 1. 환위험의 정의 사전적 의미의 환위험은 장래의 예상하지 못하는 환율변동으로 인한 기업 또는 경제주체의 가치변동의 가능성을 의미한다. 즉, 변동환율체제에서는 기업들은 미래의 환율을 예측하기가 어려운데, 이러한 예측 불가능한 환율의 변동으로 인해 발생 할 수 있는 기업이나 개인의 자산 가치의 변화를 말한다. 이러한 환위험은 크게 협의의 개념과 광의의 개념으로 나눌 수 있다. 협의의 환위험은 환율변동에 따른 손실을 입는 경우만을 의미하는데 반해 광의의 환위험은 손실 뿐 만아니라 이익까지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을 말한다. 또한 이러한 환위험은 대외거래의 계약시점과 결제시점간의 시간적 차이(transaction risk), 그리고 재무제표 작성시 환평가(translation risk)에 의해 많이 발생한다. 2. 환위험의 종류 환위험의 유형에 관한 도표 ① 회계적 환위험 이미 발생한 다국적기업의 여러 자회사의 경영성과를 수합하여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환율의 변동으로 인해 재무제표상의 경영성과가 달라지는 것이다. 즉, 본사와 해외로 있는 자회사들간에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외화료 표시된 자산, 부채, 수익, 비용 등을 자국의 통화로 환산(translation) 할 때 환율이 변동함에 따라 기업의 재무상태 및 성과가 변동될 가능성을 의미한다. 회계적 환위험은 단지 회계장부상의 환노출을 표시하는 것으로 실질적인 자금의 흐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② 거래적 환위험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재화나 서비스를 해외에서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하거나, 또는 외국환으로 자금을 빌려 주거나 빌리는 계약을 할 때 발생하는 것이다. 즉, 외화로 표시된 거래의 결제를 시행할 때 환율변동으로 인하여 이익이나 손실이 생길 가능성을 말한다. 환율변동 이전에 거래가 발생하였으나 환율변동 이후에 결제가 이루어지는 외화표시거래에 있어서 거래노출이 발생하며, 이러한 거래에는 외화표시의 외상매입, 외상대출 또는 차입 및 대출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거래적 환위험은 외국통화로 표시된 채권이나 채무가 거래시점의 환율과 상이한 환율에 의하여 결제될 때 발생한다. 상품이나 용역의 수출입, 외화자금의 대차거래 등에 수반하여 거래발생시점과 결제 시점간에 발생하는 환율변동에 의하여 초래되는 환차익 또는 환차손이다. 참고문헌 무역&오퍼상 무작정 따라하기(2008 홍재화 저 , 길벗) 국제경영 (2009 장세진 저, 449page) 국제재무관리(2010 박영규 저, 탑북스) 네이버 지식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95 프라임경제신문 2010.09.30 두산동아백과사전 전력신문 2010.09.30 헤럴드생생뉴스 2010.09.30 연합뉴스2010.09.30 동아일보 2002.06.20 서울경제 2003.12.04 한국경제 2003.12.08 국민일보 2007.09.19 키워드 환위험, 국제재무, 성공사례, 실패사례, 한국전력공사 |
2017년 5월 1일 월요일
국제재무 `미래와 사람`의 환위험 성공사례 와 `한국전력공사`의 환위험 실패사례에 대해서
국제재무 `미래와 사람`의 환위험 성공사례 와 `한국전력공사`의 환위험 실패사례에 대해서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