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9월 2일 토요일

상담심리 게슈탈트

상담심리 게슈탈트
[상담심리] 게슈탈트.hwp


목차
목 차

Ⅰ. 서론
1. 이론적 배경

Ⅱ. 본론
1. 인간관
2. 주요 개념
1) 게슈탈트
2) 전경과 배경
3) 알아차림-접촉하기
4) 미해결 과제
3. 치료목적
4. 상담기법 및 치료과정

Ⅲ. 결론
1. 공헌과 한계

Ⅳ. 느낀점

※ 참고자료


본문
게슈탈트가 생성되고 해소되는 반복과정을 '알아차림-접촉 주기'라고 부르는데, 찡커(Zinker)는 알아차림-접촉주기를 아래의 그림 Ⅱ-1과 같이 여섯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그림Ⅱ-1> 알아차림-접촉주기
먼저 (1)배경에서 (2)어떤 유기체 욕구나 감정이 신체감각의 형태로 나타나고, (3)이를 개체가 알아차려 게슈탈트로 형성하여 전경으로 떠올리고, (4)이를 해소하기 위해 에너지(흥분)을 동원하여 (5)행동으로 옮기고, (6)마음 내 환경과의 접촉을 통해 게슈탈트를 해소한다. 그러면 그 게슈탈트는 배경으로 물러나 사라지고, 개체는 휴식을 취한다. 그러나 잠시 후 다시 새로운 욕구나 감정이 배경으로부터 떠오르고 이를 알아차려 게슈탈트를 형성하고 해소하는 새로운 알아차림-접촉 주기가 되풀이 된다.

* 접촉에 대한 저항
형태치료에서 접촉은 변화와 성장이 일어나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접촉은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느끼고, 움직임으로써 만들어진다. 효과적 접촉이란 개성을 상실하지 않으면서도 자연이나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접촉은 자신의 환경에 대해 사람이 끊임없이 창조적으로 새롭게 적응함을 말한다. 형태치료 상담심리사들은 '접촉에 대한 방해, 혼란, 저항'에도 관심을 갖는다. 저항은 유기체의 통합성을 위협하는 외부압력에 대한 내담자의 정당한 자기방어 노력이다. 형태치료에서 다루는 주요 저항


참고문헌
※ 참고자료

심리상담과 치료이론의 실제, 제럴드 코리(Gerald Corey)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불안과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게슈탈트 심리치료에 나타난 마틴부버의 만남의 수용 및 적용 연구


키워드
상담심리, 게슈탈트, 상담, 심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