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25일 토요일

장출혈성대장균대장균전염과정발병과정예방과 관리장출혈성대장균의 특성, 장출혈성대장균의 증상, 장출혈성대장균의 전염과정, 장출혈성대장균의 발병과정, 장출혈성대장균의 예방과 관리 분석

장출혈성대장균대장균전염과정발병과정예방과 관리장출혈성대장균의 특성, 장출혈성대장균의 증상, 장출혈성대장균의 전염과정, 장출혈성대장균의 발병과정, 장출혈성대장균의 예방과 관리 분석
장출혈성대장균의 특성, 장출혈성대장균의 증상, 장출혈성대장균의 전염과정, 장출혈성대장균의 발병과정,.hwp


목차
Ⅰ. 개요

Ⅱ. 장출혈성대장균의 특성

Ⅲ. 장출혈성대장균의 증상
1. 발열은 대개 없으며 출혈을 동반한 수양성 설사, 복통, 구토 등의 증상을 보임
2. 독소(Vero독소, Shiga독소)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용혈성 요독증이나 혈전성 혈소판 감소증 같은 합병증 발생

Ⅳ. 장출혈성대장균의 전염과정

Ⅴ. 장출혈성대장균의 발병과정

Ⅵ. 장출혈성대장균의 예방과 관리
1. 음식물의 원재료 및 조리 단계
2. 개인위생 철저로 2차 전파 방지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모든 연령(1~80세)에서 O157:H7감염이 보고 되어 있다. 북서태평양지역의 집단연구에서, 감염률이 높은 연령은 0~9세 어린이였다. O157:H7은 기회 감염균이 아니며, 건강한 사람 뿐 아니라 만성 질병 환자에게 심한 질병을 일으킨다. 과거에 염증성 장 질환이 있던 환자는 분변가검물에서 분리한 O157:H7이 있다. 만성 장 질환과 O157:H7감염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가는 불확실하다.
O157:H7은 남극대륙을 제외하곤 전 세계적으로 분리되고 있다. 북미에서 캐나다와 미국과 캐나다 국경을 따라 일련의 주는 산발발생뿐만 아니라 집단발생 모두 보고 되어 있다. 산발적 발생 예나 집단 발생 예 모두에서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계절적 양상을 띠고 있다. 흥미롭게도 비슷한 계절적 변화가 O157:H7 발견 전에 HUS의 경우에도 발견되었다

참고문헌
김윤성(2005), 경기도에서 분리된 장출혈성대장균(EHEC)의 분자역학적 특징 연구, 경기대학교
김홍(2001), 장출혈성 대장균 O157:H7 eaeA 유전자의 재조합 및 발현 분석, 연세대학교
김도균(2001), 장출혈성 대장균 0157:H7의 Intimin 발현과 면역반응 효과, 단국대학교
박재구(2008), 장출혈성 대장균 쉬가독소 진단용(VT-RPLA) 킷트의 개발, 질병관리본부
박성훈 외 11 명(2006), Non-O157 장출혈성대장균 불현성 감염증집단유행, 대한내과학회
최준길(2011), 장출혈성대장균 감염증 확산에 따른 검역강화 조치, 질병관리본부

키워드
장출혈성대장균, 대장균, 미생물, 출혈, 감염균, 장출혈성대장균의 발병과정, 장출혈성대장균의 예방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