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25일 토요일

장염비브리오균식중독장염비브리오균의 의미, 장염비브리오균의 증상, 장염비브리오균의 분포, 장염비브리오균의 오염경로, 장염비브리오균과 식중독, 장염비브리오균의 예방법, 장염비브리오균의 치료법 분석

장염비브리오균식중독장염비브리오균의 의미, 장염비브리오균의 증상, 장염비브리오균의 분포, 장염비브리오균의 오염경로, 장염비브리오균과 식중독, 장염비브리오균의 예방법, 장염비브리오균의 치료법 분석
장염비브리오균의 의미, 장염비브리오균의 증상, 장염비브리오균의 분포, 장염비브리오균의 오염경로,.hwp


목차
Ⅰ. 개요

Ⅱ. 장염비브리오균의 의미

Ⅲ. 장염비브리오균의 증상

Ⅳ. 장염비브리오균의 분포

Ⅴ. 장염비브리오균의 오염경로

Ⅵ. 장염비브리오균과 식중독

Ⅶ. 장염비브리오균의 예방법

Ⅷ. 장염비브리오균의 치료법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장염비브리오균은 연안해수의 상재균이다. 겨울철에는 해수에서 검출되지 않으나 해저 바닥뻘에서는 살아남아 있다. 그러나 해수 온도가 17℃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해수에서 장염비브리오가 검출되게 된다. 이것은 해수 중의 장염비브리오 분포와 동물성플랑크톤의 관계에 의한 것으로 장염비브리오균은 해저에서 유출된 동물성 플랑크톤의 키틴질에 부착하여, 이것을 영양원으로 하여 증식한다. 그 때문에 해저의 바닥뻘 중에서 월동한 장염비브리오는 봄이 되면 해저로부터 해수로 나와 동물성 플랑크톤에 붙어 수온 상승과 함께 그 곳에서 증식하여 해수로 나온다. 따라서 연안해수역에서 포획되는 어패류는 당연히 장염비브리오균에 오염되어 있고, 특히 여름철에는 오염정도가 현저히 많다. 겨울철에 검출되는 것은 드물기는 하지만, 동남아시아나 인도로부터 수입되는 어패류에서 때때로 검출된다.

참고문헌
▷ 강승호(2003), 장염비브리오의 위해도 평가, 이화여자대학교
▷ 김정완(2006), 인천 경기 해안지역의 장염비브리오균 모니터링, 인천대학교
▷ 박석기 외 6명(2002), 식중독 환자에서 분리한 장염비브리오균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보건환경연구원
▷ 손창규 외 5명(2010), 경북지역에서 분리된 장염비브리오균의 혈청학적 및 유전학적 연관성 분석, 보건환경연구원
▷ 식품의약품안전청(2007), 여름철 장염비브리오 식중독 주의, 한국개발연구원
▷ 정윤태 외 9명(2002), 장염비브리오균의 용혈성 유전자 검색과 병원성에 관한 연구, 보건환경연구원

키워드
장염비브리오균, 비브리오균, 식중독, 설사, 미생물, 장염비브리오균의 예방법, 장염비브리오균의 치료법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