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28일 화요일

켈러의 학습동기 설계이론

켈러의 학습동기 설계이론
켈러의 학습동기 설계이론[1].hwp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이론적 배경
2.2 ARCS 모형
2.2.1 주의(Attention)
2.2.2 관련성(Relevance)
2.2.3 자신감(Confidence)
2.2.4 만족감(Satisfaction)

3. 결론

4. 참고자료


본문
1. 서론
자신의 수업을 설계하는 교수자라면 누구나 '어떻게 하면 학습자의 참여를 능동적이며 적극적으로 이끌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고민할 것이다. 체계적이고 좋은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렇게 학습자들을 수업에 참여시키기 위한 요소 중 하나가 '동기'이며, 이러한 동기는 학습자의 학업성취와 큰 관련이 있다. 학습의 결과는 학습자들이 보다 학습 상황에 의미를 부여하고 보다 흥미를 느낄 때 더 높은 성취도를 보일 수 있다. 이에 켈러는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학습에 관한 행동주의적 인지주의적 이론들을 바탕으로 그들의 주장이 학습 동기 연구와 통합되어 어떻게 하면 보다 효과적, 효율적인 교수 상황을 제공할 수 있는가를 밝혀 주고 있다.


2. 본론
2.1 이론적 배경
켈러의 ARCS모형을 보기 전에 이론의 배경이 되는 학업 성취와 동기의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아래의 그림1을 참고해서 살펴보면, '노력'은 개인이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활동에 몰두하는 정도이자 직접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켈러는 수행은 수업을 통해 달성되는 실제적이고 외적인 성취이자, 학습자의 능력과 학습의 설계 및 관리와 같은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결과'는 학습자의 수행에 따르는 상, 벌 등의 외적 보상 및 물질적 보상과 기쁨 혹은 절망 등의 정의적 반응까지도 포함되며,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되어 결과에 의해 영향을 받는 동기는 후에 학습자의 학습에의 노력과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결론적으로 켈러의 학습동기, 학업수행 및 교수 영향에 관한 이론은 개인이 어떤 과제를 해결하려는 '노력'과 실제로 행하는 '수행', 그 수행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변인(P변인)과 환경 변인(E변인)을 통합한 거시적 이론이라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국내문헌

김범년 김영렬, 2011, ARCS 학습동기 전략을 이용한 Smart Learning의 학업성과와 관련된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 2011 No.1, pp.414-419

김수정, 2010, Keller의 ARCS 모형에 따른 수학과 곱셈 단원의 수업설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 원

박성익 임철일 이재경 최정임, 2011,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교육과학사


■ 인터넷자료
블로그, , 2013.5.10 검색

PPT 자료, , 2013.5.10 검색

위키피디아,
, 2013.5.10 검색

네이버뉴스,
, 2013,5.14 검색

파이낸셜뉴스,
, 2013.5.14 검색


키워드
동기, 설계이론, 학습동기, 켈러, 설계, 이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