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가 행복을 계산하는 방법 (공리주의 행복 계산론 비판)
공리주의가 행복을 계산하는 방법.hwp |
|
목차 없음
본문 -공리주의는 개인과 사회에 적용하는 모든 도덕 원리가, 쾌락을 증진하고 고통을 감소시켜야 한다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근거를 강력하게 제시하고 있다. 벤담은 자신의 공리주의에 대하여 “모든 도덕적 논의는 공리주의적 원리의 적용에 대하여 논하고 있을 뿐, 그 본질적 원리를 의문시 하지는 않는다.” 라고 하며 자신의 공리주의적 주장에 강한 도덕적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 원리에 대하여 제기할 수 있는 의문은 여전히 많다. 그 중에서도, 벤담은 행복을 계산할 수 있는 대상으로 여겼다는 생각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먼저, 행복은 개인에 따라, 상황과 장소에 바뀌는 것으로 각자의 행복이나 다수의 행복을 비교 및 계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비판이 가능하다. 그 수치가 비교적 명확한 물질적 재화, 에너지, 칼로리 섭취량 따위는 계산이 가능하지만, “학업에 몰입하면서 느낄 수 있는 지적인 성취감”, “숙면을 취한 후 느끼는 행복감”과 같은 것은 계산할 수 없다.
본문내용 강력하게 제시하고 있다. 벤담은 자신의 공리주의에 대하여 “모든 도덕적 논의는 공리주의적 원리의 적용에 대하여 논하고 있을 뿐, 그 본질적 원리를 의문시 하지는 않는다.” 라고 하며 자신의 공리주의적 주장에 강한 도덕적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 원리에 대하여 제기할 수 있는 의문은 여전히 많다. 그 중에서도, 벤담은 행복을 계산할 수 있는 대상으로 여겼다는 생각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먼저, 행복은 개인에 따라, 상황과 장소에 바뀌는 것으로 각자의 행복이나 다수의 행복을 비교 및 계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비판이 가능하다. 그 수치가 비교적 명확한 물질적 재화, 에너지, 칼로리 섭취량 따위는 계산이 가능하지만, “학업에 몰입하면서 느낄 수 있는 지적인 성취감”, “숙면을 취한 후 느끼
참고문헌 서양윤리학사 ㅣ 로버트 에링턴 ㅣ 서광사 ㅣ 2003.10
하고 싶은 말 본 리포트는 쾌락과 고통을 윤리학의 기준으로 삼는 공리주의 철학이 행복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비판 논지를 다룬 리포트입니다.
공리주의 논지에 대한 자세한 견해와 그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으므로 관련된 영역의 자료를 찾는 분들에게 아주 적합한 리포트가 될 것입니다.
좋은 자료로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