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2월 31일 토요일

도요타의 리콜 사태 분석

도요타의 리콜 사태 분석
도요타의 리콜 사태 분석.hwp


목차
Ⅰ. 돌아보는 도요타의 리콜 사태


Ⅱ. 도요타 리콜 사태의 문제점 분석
1. 무리한 원가 절감
2. 문제에 대한 늦은 대응
3. 과도한 해외 생산기지 확장


Ⅲ. 도요타의 대응 전략
1. 제품 가격 인하
2. 적극적인 마케팅
3. 피해에 대한 보상 강화
4. 경영전략의 변화


Ⅳ. 리콜 이후의 도요타



본문
Ⅰ. 돌아보는 도요타의 리콜 사태

2008년, 도요타는 자동차 생산량 800만대를 웃도는 세계 최고의 자동차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우수한 품질을 바탕으로 고객 만족 경영을 실시하고 고객을 중시하는 도요타의 경영방식은 도요타가 자동차 업계 중 세계 최고의 브랜드로 인정받게 되는 결과를 만들었다.
그러나 세계 자동차 시장의 1위라고 할 수 있는 도요타는 2010년 1월에 촉발된 리콜사태로 큰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도요타의 자동차에 가속페달 결함이 발생함으로 인해서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자동차는 사람의 생명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제품이기 때문에 제품에 대해서 결함이 발생하게 되면 커다란 피해를 야기시킨다. 이는 기업의 커다란 이미지 손실과 함께 기업에 엄청난 손실을 가져온다.
도요타가 자동차에 결함이 발생함에 따라 북미지역에만 430만대를 리콜 하였고 글로벌 시장에서 770만대에 달하는 자동차를 리콜 하였다. 이는 도요타에게 엄청난 비용적인 손실을 가져왔다. 또한 그에 따른 이미지 하락은 고객들이 도요타를 제품에 결함이 있는 기업으로 인식함으로서 이러한 피해는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였다.
어려움에 처한 도요타의 상황을 보고 많은 전문가들은 도요타가 심각한 위협에 처할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이는 다른 경쟁업체에게 기회요인으로 작용하여 자동차 시장에 큰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여겼다.
하지만 이러한 전망과는 달리 도요타는 회사가 직면한 어려움을 다양한 방법으로 돌파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그러한 노력이 성과로 나타나면서 몇 달이 채 되지 않아 도요타의 위기감은 사라지고 도요타가 엄청난 매출을 달성하는 등 빠른 시간 안에 위기를 극복하였다.



참고문헌
참고자료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340339 아시아 투데이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323664 아시아 투데이
http://www.hani.co.kr/arti/economy/car/405696.html 한겨레신문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1/30/2010013000043.html 조선일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3191362 네이버뉴스
오늘의 세계경제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2010.2.25
http://www.hani.co.kr/arti/economy/car/420479.html
<연합뉴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3196823


하고 싶은 말


키워드
리콜, 사태, 분석

노동경제학 우리나라의 최저임금제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동경제학 우리나라의 최저임금제 문제점과 개선방안
[노동경제학] 우리나라의 최저임금제 문제점과 개선방안.ppt


목차

1. 최저임금제의 배경과 의미
     1) 최저임금제와 등장배경
     2) 최저임금제의 목적과 적용대상
3) 최저임금제의 찬/반 의견

2. 최저임금제의 운영실태와 효과
     1) 최저임금제의 결정 방법
     2) 최저임금제의 긍정적/부정적 효과

3. 최저임금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1) 다른국가와 비교한 우리나라 임금제의 문제점
     2) 최저임금의 본질적인 문제
     3) 최저임금의 해결방안


본문
2. 최저임금제의 운영실태와 효과
최저임금제의 결정방법
최저임금은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노동부장관이 결정
- 이를 위하여 노동부장관은 매년 3월 31일까지 다음 연도에 적용할
최저임금의 심의를 최저임금위 원회에 요청하여야 한다.
 
- 근로자위원, 사용자위원, 공익위원 각 9인씩 총 27인으로 구성된
최저임금위원회에서는 노동부장관 으로부터 심의요청을 받는 날로부터
90일 이내에 이를 심의 의결하여 노동부장관에게 보내면 노동 부장관은
이 안을 고시하고 고시 후 10일 이내에 근로자를 대표하는 자와 사용자를
대표하는 자의 이의 제기를 받게 된 경우 타당성이 있으면
최저임금위원회에 최저임금안의 재심의를 요청하고 그렇지 않으면
위원회에서 의결한 안대로 8월 5일까지 최저임금을 결정하여야 한다.


키워드
최저, 개선방안, 노동경제학, 최저임금제, 경제학, 방안

유비쿼터스 비지니스의 이해

유비쿼터스 비지니스의 이해
유비쿼터스 비지니스의 이해.hwp


본문

1. 유비쿼터스 응용 서비스들

① u-Home
: 지능형 정보가전기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람과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으로 거주자 환경에서 편리하고 안전하며 즐겁고 경제적인 고품질의 생활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술
▷등장배경
- 디지털 공동체의 사용자(개인, 그룹)와 u-Home 환경 간 지능형 인터랙션을 통하여 인간의 삶을 더 자유롭고, 편리하며, 윤택하게 하여 u-Life 실현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개발 필요
- 우리나라는 인터넷, 이동통신, 디지털방송, 백색가전 산업 등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어, 이들을 기반으로 한 산업은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산업분야임
- 이러한 산업적인 배경 하에서 즐겁고, 건강하고, 쾌적하며 안전한 컴퓨팅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다양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원할 때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이 필요함.
▷주요기술



하고 싶은 말


키워드
유비, 유비쿼터스, 이해, 쿼터스, 비지니스

경제학 글쓰기 손자병법에 나온 용어들을 경영학에 접목해 보기

경제학 글쓰기 손자병법에 나온 용어들을 경영학에 접목해 보기
[경제학 글쓰기] 손자병법에 나온 용어들을 경영학에 접목해 보기.hwp


목차

◆ 경영전략이란?
◆ 경영전략 수립의 핵심가치
◆ 기업전략 세우기
◆ 오사(五事) : 도(道), 천(天), 지(地), 장(將), 법(法)
◆ 칠계(七計)
◆ 사업전략 세우기
◆ 기정(寄正)전략
◆ 아전위일(我專爲一)
◆ 손자가 강조하는 경영진의 핵심 리더십은 무엇인가?



본문
오늘날 비즈니스 세계에서는 다양한 전쟁식 표현들이 사용된다. "가격전을 펼쳐라!", "본사에서 새로운 전략을 수립하라!" 등 수많은 전쟁표현들은 기업 경쟁이론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는 낯설지 않은 표현이다. 세계정세나 국내정세는 끊임없이 변화한다. 앞으로의 미래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현대의 경영진들은 언제라도 무슨 일이 발생하면 그에 대비할 수 있는 충분한 대비를 해야한다.
과거의 장수들은 병법서를 통해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했다. 그들이 사용한 병법서가 바로 『손자병법』이다. 『손자병법』은 6천여 자에 불과한 짧은 병법서이지만 리더를 중심에 놓고 그들의 역할에 대해 서술한 책이기 때문에 수많은 전략가들에게 사랑을 받았다. 과거에는 장수들에게 사랑을 받았다면 21세기에 『손자병법』은 기업의 장수, 경영진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일본 소프트뱅크의 창립자 손정의 회장은 자신이 직접 『손자병법』을 경영에 적용하기 위해 자신만의 스타일로 재해석 한 제곱병법을 회사 경영에 사용했다. 세계 최고 갑부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 회장도 『손자병법』은 오늘날의 자신을 만든 책이라고 말하며 손자병법의 가치를 인정했다.


하고 싶은 말


키워드
손자병법, 경제학, 보기, 용어, 병법

경영,경제 기업의 교육훈련과 각 기업의 교육훈련 사례

경영,경제 기업의 교육훈련과 각 기업의 교육훈련 사례
[경영,경제] 기업의 교육훈련과 각 기업의 교육훈련 사례.hwp


목차
목차
1.교육훈련의 개념 및 과정분석
1)교육훈련의 개념정의
2)교육훈련의 역사
3)교육훈련의 목적
4)교육훈련의 필요성
5)교육훈련의 방법

2.기업의 인재개발 사례
1)삼성전자 사례분석
2)도요타 사례분석
3)모토로라 사례분석
4)그외의 기업사례 분석

3.결론


본문
1)교육훈련의 개념정의
교육훈련이란 각 분야마다 여러 가지로 정의 되어지지만 기업에서의 교육훈련이란, 기업에서 경영 및 생산활동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기 위하여 사내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행하는 교육이라 정의 되어진다. 현대의 산업사회에서 사회의 제 산업활동에 종사하는 직업인의 양성은 기본적으로 학교교육제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학교에서의 직업적인 교육훈련은 대체적으로 일반적, 보편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므로 개별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을 가진 인재를 적절하게 공급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없다. 또 과학기술의 발달 속도가 매우 빠르고 각종 정보들이 끊임없이 쏟아지는 오늘날 지식정보사회에 있어서는 학교에서 습득한 지식과 기술, 기능의 진부화의 속도 또한 빨라지므로 졸업 후 직장생활 하면서도 계속해서 새로운 학습을 해야 할 것이 요청된다.


하고 싶은 말


키워드
교육훈련, 교육, 기업, 경영, 사례

인적자원관리 - 기업의 면접 사례

인적자원관리 - 기업의 면접 사례
인적자원관리 - 기업의 면접 사례.hwp


본문
1. 일반적인 면접 질문

1) 개인신상에 관한 질문
① 이력서에 기재한 내용에 대한 질문
* 본인의 신상명세는 (성명, 생년월일, 고향, 본적지 등) ?
② 가족에 관한 질문
* 가족수? 가훈은? 집안분위기는? 가족간의 대화횟수는? 이 회사에 지원한 부모님의 생각은?
③ 학력사항에 대한 질문
* 학교명은? 전공은? 학점은? 좋아하는 과목은? 가장 인상에 남는 일은? 등 과거의 학력사항
* 초.중.고 시절의 생활은? 좋아하는 친구는? 자취나 하숙 경험은? 등 학창시절 서클 및 특별활동의 내용
④ 성격 및 장.단점과 관계된 질문
* 친구들이 보는 당신의 성격은?, 싫어하는 일이 주어진다면?, 좋아하는 인간상은?
⑤ 생활신조, 인생관, 직업관 관련 질문
* 인생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존경하는 인물은? 사랑하는 사람은 몇 명?
⑥ 결혼관에 대한 질문
* 결혼은 언제? 왜? 배우자상은 ?, 여자(남자)친구는 있는지?
⑦ 취미, 특기, 자격증 및 자랑거리에 대한 질문
* 최근에 본 영화는?, 다룰줄아는 악기는? 여가를 보내는 방법은?, 주량은?
⑧ 경력내용에 관한 질문
* 근무처는? 직책은? 근무기간은? 담당업무는? 이직이나 전직의 이유는?




하고 싶은 말


키워드
면접, 인적자원관리, 관리, 사례, 인적

유통 외식업 브랜드네이밍 및 상권분석

유통 외식업 브랜드네이밍 및 상권분석
유통 외식업 브랜드네이밍 및 상권분석.hwp


본문
1)브랜드 네이밍
돈돈부리
- 돈부리를 브랜드 화.


2) 메뉴
(1)라멘류
돈꼬츠라멘, 미소라멘, 나가사끼짬뽕라멘, 매운나가사끼짬뽕라멘, 카라미소돈꼬츠라멘
쇼유라멘, 쿠로마유돈코츠라멘, 돈꼬츠쇼유라멘, 매운돈꼬츠라멘, 야끼소바멘.
여름특선메뉴 히야시추카 등.

(2)돈부리
차슈동, 가츠동, 에비가츠동, 규동, 부타동, 치킨데리야끼동, 오야꼬동, 덴뿌라동 등.

(3)돈까스
히레까스, 가츠나베, 로스까스, 치킨까스, 치즈까스, 왕돈까스 등.

(4)사이드메뉴
모듬고로케, 치킨가라아게, 야끼만두 등.

(5)이자카야 안주
고마도후샐러드, 타코와사비, 연어샐러드
오코노미야끼, 타코야끼, 이까게소, 에비가츠, 치킨가라아게, 문어가라아게,
나가사끼짬뽕탕, 돈꼬츠오뎅탕, 간사이오뎅탕 등.



하고 싶은 말


키워드
상권분석, 외식업, 상권, 분석, 브랜드네이밍

위기관리 모델, 전략과 위기대응방법 분석 및 성공 사례 분석

위기관리 모델, 전략과 위기대응방법 분석 및 성공 사례 분석
위기관리 모델, 전략과 위기대응방법 분석 및 성공 사례 분석.hwp


목차
Ⅰ. 개관

Ⅱ. 위기의 유형

Ⅲ. 위기관리 모델과 과정
1. 준비단계 Crisis Preparation
2. 정보교환 채널개방 Open a channel
1) Focus on the public s desire for information
2) Appoint an official spokesperson
3) Professionalize the presentation
3. 의사결정 Decision Making
1) Avoid the impulse to act immediately
2) Have one single decision - making authority
3) Act when necessary
4. 위기사후관리 검토 Post - Crisis Review

Ⅳ. 위기관리의 전략
1. 조기경보System의 강화
1) 위기의 인식
2) 정보수집및 분석
3) 마이너스정보의 적극 수용
2. 위기예방의 행정관리전략
1) 총력전의 위기예방 조직 구성
2) 조직적 단결과 협조
3. 실천적 대응메뉴얼 작성
1) 의사체험
2) 보고우선순위

Ⅴ. 위기 대응 방법
1. 잠재적 위기 인식
1) 시나리오 분석 활용
2) 확산적 사고
2. 선행적 위기 관리
1) 컨틴전시 플랜 수립
2) 책임 경영 의식 정착
3) 고객과의 신뢰 관계 강화
4) 종업원에 대한 존중
3. 대응적 위기 관리
1) 신속하고 유연한 위기 극복 활동
2) 비전과 목표의 재정립
3) CEO의 솔선 수범

Ⅵ. 위기관리 성공 사례
1. IBM
2. 일본 산텐제약
3. 일본 다이에
4. 일본 노무라 증권
5. 시스코
6. 미국 존슨앤존슨사


본문
Ⅰ. 개관

위기관리는 위기에 봉착해 있음을 깨닫는 데서부터 시작한다. 이러한 시점에 왔을 때 이미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위기 발생의 시점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그로 인해 초래하게 될 손실액을 일단 파악하였다면 위기관리 기능을 실행에 옮겨도 된다. 그러한 과정에서 결정해야될 중요사항들은 신속하게 결정하도록 하고 결정하기 전에 저변에 내재해 있는 근본적인 이유를 충분히 파악하고 결정해야 한다. 이것은 위기관리 모델의 어느 상한에 해당하는지 결정하기 위한 예비절차로서, 상호 충분한 정보교환과 의사결정에 초점을 두고 진행해야 한다. 그리고 위의 2가지 주요활동을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기법과 준비를 요한다.
위기관리 계획을 수립한다해도 발생가능한 각종 위기를 완벽하게 예측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러나 한가지 종류의 위기발생에 대비하여 완벽한 준비태세를 갖추면 이와 유사한 어떠한 형태의 위기발생의 경우에도 적절히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고가 발생하면 이에 대한 책임추궁과 언론기관을 포함한 일반여론의 비평이 뒤따른다. 이러한 때에 귀사의 위기관리 계획서 제시와 그에 준한 성실한 이행, 그리고 사건당시 회사가 취했던 모든 조치사항들이 사실임을 입증함으로써 위기상황 속에서도 가능한 최선의 노력을 다하였음을 보여주면, 귀사를 오해했던 일반대중들도 그 동안의 잘못된 편견을 버리고 오히려 높이 평가하게 되므로, 위기관리를 위한 사전 계획서의 진가가 인정되어 더욱 빛을 보게될 것이다.




하고 싶은 말


키워드
위기, 분석, 방법, 사례, 성공

생산관리 - 생산능력의 불균형에 대한 대처방안에 대해서

생산관리 - 생산능력의 불균형에 대한 대처방안에 대해서
생산관리 - 생산능력의 불균형에 대한 대처방안에 대해서.hwp


본문
1. 디플레이션 deflation

경기가 하강하면서 물가도 하락하는 경제현상. 국제통화기금(IMF)은 '2년 정도 물가하락이 계속돼 경기가 침체되는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 수요부진 또는 광범위한 공급초과로 디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기업의 수익이 줄어들면서 경제가 전반적으로 후퇴하는불황을 맞게 된다. 인플레이션이 주로 초과 수요에 의해 발생한다면 디플레이션은 주로 초과 공급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즉 소비자의 구매력을 넘어서 공급이 이루어질 경우 초과공급이 생기면서 가격이 내려간다. 이는 대부분의 산업에서 물건이 팔리지 않아 생기는 현상이므로, 소비자는 자기의 소득 가운데 소비로 돈을 그다지 쓰지 않는 현상이라 할 수 있으며 금리는 하락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그런데 문제는 금리가 내려가면 기업이 투자를 증가시키고 총수요를 늘려야 함에도 불구하고, 디플레이션이 만연하게 되면 물건을 만들어 봐야 팔리지 않으므로 기업은 투자를 하지 않게 된다는 데 있다. 따라서 임금은 올리지 않고 오히려 조직의 합리화를 위해 임금을 줄이거나 해고를 많이 하는 결과가 나타난다. 디플레이션에는 순환적 디플레이션과 정책적 디플레이션이 있다. 순환적 디플레이션은 호경기에서 불경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생산능력과 수요 사이의 불균형으로 발생한다. 호경기를 거치면서 생산능력은 크게 확충돼 공급이 풍부한 반면 경기부진 또는 경기부진 예상으로 일반의 수요가 감퇴하면서 경기하강 속에 물가가 하락하는 것이다. 반면 정책적 디플레이션은 과도한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각종 총수요 억제정책을 폄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물가상승, 즉 인플레이션은 경제가 성장하더라도 물가가 불안하면 국민들의 실질소득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두려워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대식, 노영기, 안국신 공저 / 경제학원론 / 博英社



하고 싶은 말


키워드
생산관리, 생산능력, 대처방안, 관리,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