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2월 30일 금요일

한국의 이중과세방지조약

한국의 이중과세방지조약
한국의 이중과세방지조약.hwp


목차
제 1 장 서론

제 2 장 이중과세방지조약
제 1 절 조약의 의의
제 2 절 발생원인
제 3 절 이중과세방지조약 적용 대상과 체결 국가
제 4 절 국가 간 과세권 배분
제 5 절 이중과세방지조약 절차

제 3 장 선진국과의 이중과세방지조약
제 1 절 미국 / 캐나다
1. 사회적 상황
2. 정치적 상황
3. 경제적 상황
4. 한국과의 이중과세방지조약

제 4 장 후진국과의 이중과세방지조약
제 1 절 칠레
1. 사회적 상황
2. 정치적 상황
3. 경제적 상황
4. 한국과의 이중과세방지조약

제 5 장 결론

참고문헌



본문
제 1 장 서론

전 세계적으로 국제적 이중과세는 납세자의 세 후 이익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국가 간의 자본이동이나 기술이전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그 결과 국제 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저해하는 걸림돌이 되곤 한다. 또한 국제적 이중과세는 조세에 대한 공평성과 국ㆍ내외 사업 활동에 대한 중립성을 저해하고 자원의 공평하고 효율적인 배분을 저해하기 때문에 이를 배제하는 조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 국가들은 조세조약을 체결하는 동시에 국내법을 통해 국제적 이중과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표적인 조세 조약으로 이중과세방지조약이 있는데 이 조약을 통해 소득 발생의 주체인 기업과 소득이 귀속되는 국가 사이에 이중과세를 피하게 됨으로써 탈세 방지와 경제협력강화를 추구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하지만 이중과세방지조약은 긍정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는 반면 과세 문제에 있어 부정적인 측면을 간과하지 않을 수 없다. 최근 사례로 스마트폰의 대표적 생산업체인 애플사가 국내에 진출하며 아이폰의 유틸리티인 어플에 대한 국내 세금부과가 이중과세가 아니냐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에 이중과세 방지조약이 비단 수입, 수출업자에게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 더욱 분명해졌다


참고문헌
ㆍ국세청, http://www.nts.go.kr

ㆍ중앙일보, '한-캐 이중과세 방지조약에 대한 인터뷰', 2007.2.7

ㆍ조선일보, '조세협약 대거 개정 나선다', 현상경기자, 2005.4.17

ㆍ한국경제, '글로벌 조세전쟁, 다국적기업에 세금폭격 국가간 마찰로', 정종태기자/서욱진기자, 2010.3.21

ㆍ인터넷 법률신문, '최근 미국세법동향', Lucy Lee 변호사, 2009.8.13

ㆍ이데일리, '한-미 8년만에 조세조약 개정추진', 안승찬기자, 2009.5.20

ㆍ개인홈페이지, 한국과 미국의 조세협정 전문,
http://www.taxad.co.kr/zy_america.htm#이%20협약의%20대상이%20 되는%20조세는%20다



하고 싶은 말


키워드
과세, 방지, 이중, 조약, 한국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