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28일 일요일

정신분석에서 방어기제의 역할과 종류에 대하 기술하고 그 예를 들어보세요

정신분석에서 방어기제의 역할과 종류에 대하 기술하고 그 예를 들어보세요
정신분석에서 방어기제의 역할과 종류에 대하 기술하고 그 예를 들어보세요.hwp


본문
정신분석개념

정신분석이론은 1890년과 1939년 사이에 Freud에 의해서 기본적인 원리가 정립되었다.
정신분석이론은 인간에 대한 결정론(determinnism)과 무의식(unconscious)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기본적으로 가정하고 있다. 즉 인간의 행동은 우연히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내면적인 충동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이며 빙산의 대부분이 물 속에 잠겨 보이지 않듯이 마음의 대부분은 의식할 수 없는 무의식 속에 잠겨 있다고 보며, 인간의 모든 행동은 그 원인이 있고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의식 속에 내재해 있는 갈등과 충동을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에선 자유연상이나 꿈의 해석 등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무의식을 탐색하는 데에 중요성을 둔다.

1.성격의 위상(Topology)
Freud는 인간의 정신과정을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분류했다.

(1) 의식 : 어떤 순간에 자신과 환경에 대해서 인식하는 정신영역.
(2) 전의식 : 주의를 집중하고 노력하면 의식이 될 수 있는 정신영역의 일부.
(3) 무의식 : 전적으로 의식밖에 있기 때문에 전혀 자각하지 못하는 정신영역. 그 내용을 자신이 영원히 알지 못할 수도 있다. 주로 id와 superego로 구성되어 있다. 무의식의 내용은 행동과 사고를 좌우하고 방어기제를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참고문헌
정신분석학
정신건강학
성격심리학, 안범희, 도서출판 하우, p59~103
성격심리학, Jerry phares, 박영사
교육심리학, 김충기 저, 동문사, p135~P141

하고 싶은 말
정신분석에서 방어기제의 역할과 종류에 대하 기술하고 그 예를 들어보세요

키워드
정신분석, 방어기제의 역할, 정신분석에서 방어기제의 역할, 정신건강론, 정신분석개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