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목차 1. 심리 사회 모델의 철학 2. 심리 사회 모델의 이론적 배경 3. 심리 사회 모델의 개입목표와 과정 4. 심리 사회 모델에 대한 개입기법 5. 사례 6. 느낀점 본문 1.철학 -심리 사회 모델은 인간의 문제를 심리적 혹은 정서적이고 사회적인 문제로 이해하면서 '상황 속의 인간(person-in-situation) 을 강조하는 관점으로써, 클라이언트를 수용하고 개별 화 하면 '클라이언트 있는 곳에서 출발'이라고 한다. -심리 사회 모델은 1930년대 사회복지 실천분야에서 있었던 진단 주의와 기능주의의 논쟁에서 진단주의의 실천양식에 뿌리를 둔 모델이기 때문에 어떤 사례를 이해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의 근접 환경을 현재 및 과거 시점에서 조사했던 메리 리치몬드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으며, 관련된 과거 사실에 대한 세심한 개인력 조사를 통한 사회연구를 강조한 프로이드의 관점도 반영하고 있다. -우즈와 홀리스는 심리사회 모델의 이론적 배경으로 생태체론,정신역동이론,역할이론,의사소통이론 등을 제시하였다. 심리사회 모델의 가장 주요한 이론은 정신역동이며, 이 가운데 정신분석이론과 대상관계이론은 심리 사회 모뎅 이론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신분석이론이 문제의 원인을 인간의 본능적 충동과 과거의 경험으로 보는 단선적인 관점과는 달리 심리사회이론은 문제를 사회적환경과의 상호작용에서 파악하려고 하는 심리사회적 관점을 가진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사회복지 실천기술론(임상록 외 7명,파란마음 2010) 사회복지 실천기술론(최경화 외 6명,신정 2010) 하고 싶은 말 키워드 사회, 심리, 심리사회, 기술론, 실천 |
2016년 11월 28일 월요일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심리사회 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심리사회 모델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