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6월 28일 수요일

사회문화적 비평 이론의 실제

사회문화적 비평 이론의 실제
사회문화적 비평 이론의 실제.hwp


목차
Ⅰ. 사회문화적 비평의 발생배경과 원인

Ⅱ. 사회문화적 비평의 창시자 또는 이론가

Ⅲ. 사회문화적 비평의 핵심적인 내용과 방법

Ⅳ. 사회문화적 비평 이론의 파생과 변화 및 영향

Ⅴ. 사회문화적 비평 이론의 실제






<참고문헌>


본문
Ⅰ. 사회문화적 비평의 발생배경과 원인

사회문화적 비평은 문학과 사회제도, 작가의 사회적 지위, 문학적인 소재로서의 사회의 여러 양상, 문학의 전달과 공급과 같은 문제를 주요과제로 삼는다. 또한 이념적이고 이데올로기를 내세우고, 사회계층간의 갈등이 작품을 낳는 충동으로 보며 작품은 그 갈등을 해결하는 것을 중요한 핵심으로 삼기도 한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비평의 바탕은 플라톤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공화국에서 인정할 수 있는 유일한 시는, 신 또는 영웅에 대한 찬가뿐이다."
-플라톤, 『공화국』


라고 하였다. 우선 플라톤의 『공화국』은 사회 정의가 실현되기 위한 정체는 어떤 것인가, 정의로운 국가에서 인간 개인들의 삶은 어떤가, 한 개인에 있어서 인격의 완성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라는 사회 실천과 개인의 함양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를 미루어 보았을 때, 감성적 세계에 대해 노래하는 것을 원치 않고,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 이성의 세계에 대해 노래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문학의 사회적 도덕적 효능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주장한 순수한 미적 가치보다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참고문헌
-朴喆熙 金時泰(1988), 『문예비평론』, 문학과비평사.
-윌프레드 L, 게린 외,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한신문화사.
-윌프레드 L., 게린 외, 『문학 비평 입문 제3판』, 한신문화사,
-윌프레드 L.게린 외, 최재석 옮김(1994), 『문학 비평 입문』, 보광문화사.
-조명희(2004), 『낙동강』, 범우.
-M.마렌 그리제바하, 장영태 옮김(1989),『문학연구의 방법론』, 기린원.
-P브라니츠키, 이성백 역(2009),『마르크스 주의의 역사 1』,중원문화.
-김기진, 『시감 이편』(『조선지광』, 제70호, 1927. 8.)에서 말한 평론
-김순전(2000), 「한일 경향소설의 양상 비교연구」, 세계문학비교연구 제3집.
-김일한(1998), 「포스트마르크스주의 논쟁을 통해 본 마르크스주의의 오늘」, 정신문화연구 제21권 제3호.
-이도흠(2009), 『한국문학 이론과 비평』제44집(13권 3호), 「기호학 비평과 마르크스주의 비평의 종합과 저 너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이상화(1992), 「네오마르크스주의와 포스트마르크스주의」, 철학과 현실, 통권 제15호.
-이을호 편집 임석진 감역(2008),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 중원문화.
-천정환(2008), 「근대적 대중지성의 형성과 사회주의(1)-초기 형평운동과 「낙동강」에 나타난 근대주체-」, 상허학보 22집.
-허상문(1998),『신영어영문학』제 10집,「마르크스주의 문학이론과 이데올로기 론」.
-홍문표(2003),『현대문학비평이론』,창조문학사.
-홍성호(1995), 『문학사회학, 골드만과 그 이후』, 문학과지성사.


키워드
사회문화, 비평, 사회, 문화, 실제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