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목차 1.훈민정음 이전의 글자 살이 (1)한자전래 ~ 한문표기 (2)고유명사의 차자 표기 (3)이두(吏讀) (4)향찰(鄕札) (5)구결(口訣) 및 약체(略体) (6)한자 빌어 쓰기에 실패한 이유 - 한국어의 음절 수, 일본어와의 대비 2.훈민정음 (1)훈민정음의 기원설들 (2)훈민정음 본문의 글자 쓰기에 대한 풀이 (3)글자 만든 원리 (4)모아쓰기 (5)훈민정음에 대한 이름과 낱글자의 이름 본문 3) 몽고글자 - 유희<언문지(諺文誌)> 4) 그 밖의 견해 - 서장 글자, 발리(pali) 글자, 우리나라의 옛 글자 등. 5) 해례 - 1940년 경북 안동에서 해례(解例)가 붙은 훈민정음 반포 시기의 원본 '훈민정음'이 나타남. => 정음 28자의 창제 원리를 모두 설명. (2)훈민정음 본문의 글자 쓰기에 대한 풀이 1) 해례(解例)의 짜임새 - 설명문이 모두 한문 - 훈민정음 본문 +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制字解)․초성해(初聲解)․중성해(中聲解) ․종성해(終聲解)․합자해(合字解)․용자례(用字例)>로 구성. - 훈민정음 28자의 발음법을 한자로써 설명 예)ㄱ소리는 '君(군)'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나란히 쓰면 '虯(규)'자의 처음 나는 소리와 같다. 2) 초성(初聲) - 초성 17자 +ㄲ․ㄸ․ㅃ․ㅉ․ㅆ․ᅘ - 초성은 소리 나는 자리에 따라 다섯 가지, 또는 일곱 가지 소리로 나뉨. 하고 싶은 말 열심히 작성하고 좋은 평을 받은 리포트 입니다. 감사합니다. 키워드 훈민, 글자, 훈민정음, 초성, 해례 |
2016년 11월 1일 화요일
사회복지 글자살이의 역사
사회복지 글자살이의 역사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