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 26일 일요일

애착장애의 원인과 결과, 애착장애 발달경과

애착장애의 원인과 결과, 애착장애 발달경과
애착장애의 원인과 결과, 애착장애 발달경과.hwp


목차
애착장애의 원인과 역할, 애착장애 발달경과

I. 원인과 역할
1. 병리적 양육
2. 부모의 위험요소
3. 발달적 문제
4. 생물학적 요소

II. 발달경과
1. 영유아기
2. 아동기
3. 청소년기
4. 성인기


본문
애장장애의 원인과 역학, 애착장애 발달경과

I. 원인과 역학

애착장애를 일으키는 단일한 원인 요소는 없고 학자들마다 이 부분에 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단지 인지적 결함, 영양상태, 사회적 박탈이 애착장애 행동에 중요한 원인적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최근 야기되었다(O Conner, Bredebkamp, Rutter, & English and Romanian Adoptees ERA Study Team, 1999).그러나 현재까지의 정의에 따르면 병리적 양육은 애착장애 생성의 주요 원인적 요소가 될 수도 있다. 병리적 양육을 포함한 부모의 위험요소들, 발달적 고려점, 생물학적 요소도 잠정적인 원인으로 제시될 수 있다.

(1) 병리적 양육

박탈의 기간과 경한 또는 심한 애착장애 행동 사이의 관련성은 비교적 일률적이다. 그러나 병리적 양육을 경험하지 않은 입양아 중에서도 애착장애 행동이 보인다고 보고되었다(O Conner et al., 1999). 그러므로 병리적 양육을 받은 모든 아동이 RAD가 되는 것은 아니나, 병리적 양육은 RAD의 몇몇 증후군을 야기 시킨다고 본다.


하고 싶은 말
자료들을 뒤적거리며 알짜배기로 간추려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키워드
장애, 애착장애, 애착, 병리적, 병리, 발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