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Ⅰ.전자정부 소개 Ⅱ.전자정부 시스템 상의 이슈 정보화 기반환경 구축 상의 이슈 정보화 서비스 확대 상의 이슈 Ⅲ. 전자정부 및 IT정책의 과제 Ⅳ. 결론 및 요약 정리 본문 세계 속의 대한민국 전자정부 UN전자정부지수 순위에서 1위 2010년 1위에 이어 2012년도 1위 2000년대 초반에 비해 전자정부지수의 상승 높음 전자정부 수출의 확대 2011년 전자정부 해외수출은 전년대비(2010년 1억 4,876만 달러) 58% 증가한 2억 3,566만 달러를 달성 전자정부의 정의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의 업무를 전자화하여 행정기관 등의 상호간의 행정업무 및 국민에 대한 행정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정부 전자정부법 제2조 여기서 핵심은 정보기술의 사용, 업무의 전자화, 상호협력, IT기술을 활용한 정부의 업무프로세스 혁신, 대국민서비스 우리나라 전자정부의 현황 전체 전자정부서비스의 이용률 증가 : 2007년 41.1% 2012년 51.2% 정부민원포털 이용건수 : 2008년 18,247천건 2012년 25,710천건 국민신문고 제안건수 : 2005년 16,086건 2008년 57,851건 나라장터를 통한 조달규모의 증가 전체 공공조달의 규모 : 2007년 92조원 2009년122조원 이 중 나라장터에 의한 조달 규모 2007년 56조원 2009년85조원 전체공공조달에 있어 나라장터를 통한 조달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 약 61% 2008년 약 70% 로 9%정도 증가 공공정보를 적극적으로 개방하고 공유하며 정부부서간의 소통과 협력을 활성화하는 정부운영패러다임 국민 중심으로 일하는 방식, 문화, 관행 등을 바꿔가는 것 정보를 만들고 보유하는 것에서 → 보유한 정보를 국민에게 적극 공개하는 것으로 공개된 정보를 국민들은 더 적극적으로 활용 할 수 있고 불필요한 사회적 에너지 낭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음 참고문헌 2012 국가정보화백서 -한국정보화진흥원 데이터강국을위한 국가정보화사업추진방향 2013.4 한국정보화진흥원 전자정부 포커스 N 인사이트 2010.5 -한국정보화진흥원 전자정부본부정책기능강화방안에관한연구 06.12-행정자치부 한국전자정부포럼 소프트웨어 산업 육성 정책 성공 조건 -김진형KAIST교수 전자정부론, 권기헌, 박영사, 2007 2013년 지역정보화 동향분석 제1호 : 제18대 대통령 당선인의 IT 공약 분석 한국지역정보개발원 박근혜 정부 국정과제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2013) 12~13년 개인정보 침해 유형 및 실태 - 안전행정부 R&D 통계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 Issues & policy, 박동배(2011)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공인인증서 논란 .문제점과 해결 방법은? 데일리시큐 TV 홈페이지 한국지역정보개발원 www.klid.or.kr 한국정보화진흥원 www.nia.or.kr 국가공유자원포털 www.data.go.kr 공공정보활용지원센터 www.pisc.or.kr E-나라지표 http://www.index.go.kr 범정부 EA포털 (GEAP : www.geap.go.kr) 행정표준코드관리시스템 www.code.go.kr 표준프레임워크 포털 www.egovframe.go.kr 국가지식포털 www.knowledge.go.kr 정부3.0 https://www.gov30.go.kr, http://gs.statcounter.com, 2012.6. 신문기사 파이낸셜뉴스, '정부 3.0'은 제3의 물결, 2013.9.23 박찬우 미디어스 <정부 1.0도 못하면서 정부 3.0 비전 선포식?> 2013.06.23 김철 파이낸셜뉴스 '정부3.0시대' 빅데이터로 과학행정 구현 - 2013.9.11 조은효 웹표준 지킨다더니 .국내에선 액티브-X 재림? - DBguide.net 서울경제신문 기업이 체감하는 정부 3.0 박일준 "개방과 참여, 공유 정신이 사회 변혁 이끌 것" 2012.7 소프트웨어연구소 안전한 금융결제의 허상 2012.12 블로터포럼 이지영 모바일 전자정부 아이폰 문제의 해결 방법은 퇴출 뿐인가? 2012.11.15 블로그 The Sense Of Life http://gs.statcounter.com/ Top 5 Browsers 2012.9 키워드 국가, 전자정부, IT정책, 정부, 정책 |
2016년 7월 29일 금요일
MIS 전자정부 및 국가 IT정책
MIS 전자정부 및 국가 IT정책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