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본문 과거, 현재의 김승옥 1. 김승옥의 생애 60년대 들어와 한국문학은 6.25 전쟁의 정신적 황폐함을 그대로 닮은 50년대와는 전혀 새로운 흐름을 타게 된다. 집단보다는 자아와 개인주의적 의식으로 눈을 돌리는,흔히 60년대성으로 요약되는 이 한 중심에 김승옥이 서 있다. 김승옥은 1941년 12월 23일 일본 오사카에서 부친 김기선과 모친 윤계자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릴때는 학길이라는 아명으로 불렸다. 1945년에 귀국하여 전남 진도에서 몇 달 살다가 본적지인 전남 광양으로, 다음 해는 순천으로 이사해, 그곳에서 순천남국민학교에 입학을 했다. 그러나 그 해에 아버지를 잃고 다시 여수 경산국민학교로 전학하였다. 48년 여 순사건이 있었고 50년에 6.25가 터지자 그는 경남 남해로 피난을 갔다가 수복 후 순천북국민학교로 전학하였다. 이때<새벗>지에 동시도 발표하기 시작했다. 여순사건 직후에 아버지가 사망하고 여동생이 유복자로 태어나야 했으며 그 여동생조차 6.25때 비참하게 죽어간 비극적 유년을 품게 된다. 자신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어린 김승옥은 할머니와 어머니 세동생의 정신적 지주가 되어야만 했다. 기독교로 눈을 돌리게 된 것도 이런 답답한 환경과 무관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때부터 그는 어린이 잡지에 동시를 투고하기 시작했으며 순천중학교에 입학한 뒤에는 교지에 콩트, 수필 등을 발표하는 등 어린 문사로서의 재능을 발휘하기 시작했다. 참고문헌 <참고자료> 1. 『호남문학기행』, 장선희 정경운, 박이정, 2000. 2. 출처 무진기행 霧津紀行 | 네이버 백과사전 하고 싶은 말 열심히 작성하고 좋은 평을 받은 리포트 입니다. 감사합니다. 키워드 김승옥, 문학, 순천, 한국문학, 한국 |
2016년 10월 28일 금요일
한국문학-김승옥에 대하여
한국문학-김승옥에 대하여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