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본문 보건의료(병원) 기관은 비영리부문(Nonprofit Sector)에 대한 Salamon&Anheier의 3분 모델(국가, 시장-영리기관, 제 3의 영역)에 있어서 제 3의 영역을 세분화한 12개 하위 범주 중에서 group 3(Health)에 속하는 조직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대한민국의 현실에서 특히 민간에 의한 자본투자 비율이 거의 100%에 가까운 개업의 중심의 1,2차 의료기관들이 과연 비영리부문이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명백하고도 타당한 문제 제기가 있을 수 있겠으나, 기본적으로 모든 보건의료(병원) 기관들은 타인의 생명을 보호하고 타인의 건강을 증진시킨다는 사회적(or 이타적) 서비스 제공 행위를 그 핵심 본질로 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또한 법에 따라 조세 감면을 받는 조직이라는 점에 있어서 그리고 마지막으로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에 따른 영리 획득이 결과적(부수적)으로 뒤따르기는 하지만 영리 그 자체를 mission이나 vision으로 추구하지는 않는다는 점 등을 근거로 해서 일단 비영리부문 중의 하나로서 함께 논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황성철・정무성・강철희・최재성, 사회복지행정론, 2009, 현학사. Thomas G. Zidel 저, 권영대・김광점・장성진・이미미 역, 린-의료경영혁신의 새로운 패러다임, 2009, 시그마프레스. ASAE Suemitsu 저, 정경진 역, IT 시대의 과제달성형 목표관리, 2006, 오즈컨설팅. Tom Peters 저, 정성묵 역, 미래를 경영하라, 2007, 21세기북스. 구본형・오세나・홍승완, 아름다운 혁명-공익 비즈니스, 2007, 세종연구원. Robert Simons 외 15인 저, 김은숙 역, 하이퍼포먼스 조직-지속적으로 성과를 내는 실행 중심의 조직 설계, 2009, 21세기북스(하버드비즈니스클래식). 하고 싶은 말 열심히 작성하고 좋은 평을 받은 리포트 입니다. 감사합니다. 키워드 기관, 의료, 보건, 병원, 영리 |
2016년 10월 31일 월요일
NPOs 관리론의 이론을 토대로 서울시내 보건의료기관을 선정 조직구조, 조직문화, 리더십,의사전달체계인사관리,재정관 등 관점에서분석서술
NPOs 관리론의 이론을 토대로 서울시내 보건의료기관을 선정 조직구조, 조직문화, 리더십,의사전달체계인사관리,재정관 등 관점에서분석서술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