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방 법 2.결과 및 논의 참고문헌 본문 대인관계는 사회심리학 파트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는 영역이다. 이에 기반 하여 대인관계를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들이 사회심리학 영역에서 대두하게 되었다. 그 시작은 '보상(rewarding)'이라는 단순한 개념에서 출발하였다. 몇몇 연구자들이 발견한 것은 사람들이 자신에게 보상, 즉 득이 되는 행동을 보이는 타인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Newcomb, 1956, 1961 ; Thibaut and Kelley, 1959 ; Homans, 1961 ; Bryne, 1961 ; Bryne and Wong, 1962) 이는 만약 타인이 자신에게 변함없는 긍정적인 정서와 의견을 제시한다면 이것은 보상이 되어 그 타인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는 쉽게 예측가능하고 단순한 논리이다. 하지만 Spinoza가 도덕의 44가지(44 of The ethics, 1955)에서 이야기하는 것처럼, "사랑에 의해 극복된 증오는 곧바로 사랑으로 바뀌고, 그리고 그 사랑은 그 후 곧 증오를 겪지 않은 사랑보다 더 강력하다"에서도 볼 수 있듯이 대인관계에서 매력을 결정하는 요인은 단순한 득 혹은 실의 개념을 넘어서는 다른 요인이 작용한다는 상상이 충분히 가능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나온 것이 득실이론이며 이번 논문에서 실험적으로 증명하고자 하는 이론이다. 그것은 대인관계에서 매력, 호감의 결정 요인이라 알려진 상호성에 관련하여 기존의 이론들과 비교하여 대인관계에서의 '득'과 '실'의 작용이 극대극소 원리나 형평원리뿐만이 아니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안정성 여부를 보여줄 수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실 일상 속의 대인관계는 단순히 한 이론을 기반으로만 설명하기에는 실험에서 이야기하는 '변인'들이 무수히 많이 작용 한다. 경우에 따라 극대극소 원리를 기반으로 한 사회적 교환이론이나 형평원리를 기반으로 하는 형평이론의 설명력이 더 효과적일 수도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우리는 득실이론이 시사 하는 대인관계에 있어서의 득과 실, 여기에 더해 안정성의 요소가 실제 대인관계 속에서 어느 정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작용하며 이것이 실험으로도 검증될 수 있다는 점을 알리기 위해 아래의 실험을 계획하게 되었다. 득실이론에 있어서의 득실 현상이란 우리가 우리를 항상 좋아하는 경우보다 처음에는 부정적으로 보다가 점차 긍정적으로 보는 경우, 이런 사람을 더 좋아하고, 우리를 항상 싫어했던 사람보다 좋아하다가 싫어했던 사람을 더 싫어한다는 것이다. 이를 모형으로 나타내면 아래의 표1과 같다. 참고문헌 김준호 (2012), 스피치를 통한 자기제시(self-presentation)가 화자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111-112. ARONSON, E., AND LINDER, L. Gain and loss of esteem as determinants of interpersonal attractiveness. J. experiment. soc. Psychol., 1965, 1, 156-171 BRYNE, D. Interpersonal attraction and attitude similarity. J. abnorm. soc. Psychol., 1962, 62, 713-715 BRYNE, D., AND WONG, T. J. Racial prejudice, interpersonal attraction, and assumed dissimilarity of attitudes. J. abnorm. soc. Psychol., 1962, 65, 246-253 GERARD, H. B., AND GREENBAUM, C. W. Attitudes toward an agent of uncertainty reduction. J. Pers., 1962, 30, 485-495 GEWIRTZ, J. L., AND BAER, D. M. The effect of brief social deprivation on behaviors for a social reinforcer. J. abnorm. soc. Psychol., 1958, 56, 49-56 HOMANS, G. Social behavior : Its elementary forms. New York : Harcourt, Brace, and World, 1961. KAHNEMAN, D. (2010) The riddle of experience vs. memory. http://www.ted.com/talks/daniel_kahneman_the_riddle_of_experience_vs_memory.html., NEWCOMB, T. M. The acquaintance process. New York : Holt, Rinehart, and Winston, 1961. NEWCOMB, T. M. The prediction of interpersonal attraction. Amer. Psychologist, 1956, 11, 575-586. SPINOZA, B. The ethics. New York : Dover Press, 1955, Prop. 44, p. 159. WALTERS, R. H., AND RAY, E. Anxiety, social isolation, and reinforcer effectiveness. J. Pers., 1960, 28, 258-267. 키워드 득실이론, 사회심리, 검증, 사회, 심리, 이론 |
2016년 6월 1일 수요일
사회심리 득실이론의 실험적 검증
사회심리 득실이론의 실험적 검증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