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1일 토요일

질병역학 역학의 개념과 영역 - 역학의 정의와 활용 및 역사, 역학적 조사와 분석방법

질병역학 역학의 개념과 영역 - 역학의 정의와 활용 및 역사, 역학적 조사와 분석방법
[질병역학] 역학의 개념과 영역 - 역학의 정의와 활용 및 역사, 역학적 조사와 분석방법.hwp


목차
질병역학 역학의 개념과 영역

I. 역학의 정의

II. 역학의 역사

III. 역학의 활용
1. 기술적 역할
2. 원인규명의 역할
3. 연구전략 개발의 역학
4. 질병 또는 유행발생의 감시역할
5. 보건사업 평가의 역할

IV. 역학적 조사와 분석방법
1. 기술역학
2. 분석역학
1) 전향성 조사
2) 후향성 조사
3) 위험도 측정
4) 집단검진
3. 실험역학
4. 이론역학

* 참고문헌


본문
질병역학 역학의 개념과 영역

I. 역학의 정의

역학(疫學)은 현대 의학과 마찬가지로 서양에서 발생한 후 오랜 기간을 거쳐 의학 및 보건 분야에서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 발전된 응용과학이다.
G. W. Anderson은 역학을 질병의 발생을 연구하는 과학 이라고 하였으며, Epidemiology의 어원은 기원전 3세기경 의성 Hippocrates의 저서명이었던 Epidemic (epi = upon, demos=population)에 logos(science)를 붙인 것으로 역학이라고 번역한 것은 일본 학자인 듯하다. 우리나라의 백제, 고려, 조선시대의 전염병에 관한 기록에서도 대역, 역질흥행 등의 기록이 있는 바, 疫 은 전염병의 집단 발생을 의미하는 epidemic의 뜻이 정확하게 옮겨진 어휘라고 보여지나, 그동안 다만 epidemiology라는 영문어취와 마찬가지로 역학의 개념과 영역이 많이 변천되어 현재에는 疫 의 범위가 전염병에 한정하지 않고 모든 생리적 이상상태로 확장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밖에도 역학의 정의에 관해서는 여러 학자들이 의견을 조금씩 달리하고 있으므로 그 몇몇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C. O. Stallybrass는 The science which considers infectious disease their course, propagation and prevention : 전염병의 원인, 전파, 예방에 관한 과학 이 역학이라고 정의하였으며, W. H. Welch는 A study of the natural history of disease : 질병의 자연사에 관한 과학 이라고 정의하였다. 가장 포괄적이고 현대적인 개념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는 W. H. Frost의 정의를 살펴보면,

The science which considers the occurrence, distribution, and type of disease of mankind, in distinct epochs of time, at varying points on the earth s surface and secondly, will render an account of the relations of these diseases to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nd to the external conditions surrounding him and determining his manner of life.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하고 싶은 말
필요한 내용만 간추려 작성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키워드
역학, 분석방법, 질병역학, 역학적, 역사, 방법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