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 워크페어의 개념과 목적 2. 근로연계의 특징 3. 근로연계의 배경과 현황 4. 근로연계의 한계 5. 근로연계의 찬반 주장 6. 근로연계복지정책 평가와 개선방안 본문 1. 워크페어의 개념과 목적 1) 워크페어의 개념 근로연계복지는 1970년대 중반 오일쇼크 이후 복지의존성 문제와 복지비용 절감 등의 이슈와 함께 서구 복지국가의 복지재편과 아울러 전 세계적으로 유행처럼 전개되고 있는 복지제도의 양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근로연계복지의 개념 정의는 현재까지 분명하지 않다. 넓은 의미: 근로연계복지는 고용 친화적인 복지국가(employment-friendly welfare state)를 만들기 위한 사회 정책 전반을 가리키는 개념. 좁은 의미: 근로연계복지가 유급 노동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기기 위한 장치. ☞ work(일) + welfare(복지) = workfare *사전적 의미:'노동복지계획','노동후생'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급여를 받는 사람에게 일을 하도록 요구하는 복지 프로그램. 공공부조 수급자(때에 따라서는 실업급여 수급자)가 급여를 받는 대신에, 의무적으로 일하게 하거나 관련 활동에 관여하게 하는 제도라고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워크페어는 어떤 특정한 프로그램을 가리키기보다는 일반적인 용어로 사용된다. 참고문헌 김종일. (2006). 서구의 근로연계복지: 이론과 현실. 파주: 집문당. 김태성, 류진석, 안상훈. (2005). 현대 복지국가의 변화와 대응. 파주: 나남출판. 도미희. (2002). 근로연계복지제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김해. 신동면. (2003). 자활사업에 대한 평가와 발전방안. 사회과학논집 제 20집. p. 191-212. 황덕순 외. (2002). 근로연계 복지정책의 국제비교. 한국노동연구원. 오영훈, (2001) 자활직업훈련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 , 자활직업훈련 활성화 방안 ,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세미나(2001.9.21) 자료. 이 외에 네이버 인터넷 자료 & 보건복지부 자료 참고 하고 싶은 말 잘 활용하셔서 좋은 결과 얻으세요^^* 키워드 복지, 근로, 연계, 근로연계복지, 비용, 수급자 |
2016년 10월 27일 목요일
근로연계복지(생산적 복지)의 개념과 개선방안
근로연계복지(생산적 복지)의 개념과 개선방안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