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29일 목요일

주의발달 주의선택성(주의선택성의 발달, 선택적 주의), 주의상태(주의상태의 측정법과 발달적 변화), 주의통제

주의발달 주의선택성(주의선택성의 발달, 선택적 주의), 주의상태(주의상태의 측정법과 발달적 변화), 주의통제
[주의발달] 주의선택성(주의선택성의 발달, 선택적 주의), 주의상태(주의상태의 측정법과 발달적 변화), 주의통제.hwp


목차
지능검사

I. 지능검사의 발전배경

II. 지능검사의 종류
1. 개인 지능검사
1) 비네 지능검사
2) 스탠포드-비네 지능검사
3) 웩슬러 지능검사
4) 카우프만 아동용 지능검사(K-ABC)
2. 집단 지능검사
1) 군대-알파검사와 군대-베타검사
2) 쿨만-앤더슨 지능검사
3) 군대일반분류 검사
4) 정범모의 간편지능검사

본문
지능검사

I. 지능검사의 발전배경

인간의 지능이나 정신능력에 관한 개념과 이론의 발전은 정신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도구/검사의 발전과 병행되어 왔다. 때로는 정신능력이나 지능에 관한 이론의 발전에 앞서서 측정도구 및 검사가 발전되어 가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인간의 정신능력에 관한 이론은 측정방법이나 검사도구의 개발 없이는 그 대상을 규명하기 어렵다. 따라서 초기의 정신검사 발전에 영향을 준 정신지체아의 진단과 처치, 임상적 처치, 교육적 필요 등은 검사도구의 개발을 더욱 요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실제적인 필요와 더불어 그 당시 사회적 시각이 인간의 정신능력을 진화론과 유전론적 관점에서 파악하려 했다. 이것이 Galton의 지능에 관한 유전론적 연구를 자극한 것으로 보인다. 그가 개인차에 관심을 두게 되면서 어떤 가계들은 다른 가계들보다 더 우수하다는 가정을 하였다. 그는 1884년 런던 박람회에 구경 온 9,000명의 관람객에게 머리의 크기, 반응시간, 폐활량 및 손아귀 힘과 같은 것을 재는 한 검사를 실시하여 우수한 사람과 열등한 사람 간에 차이를 추정하였다. 그러나 저명한 과학자들도 머리 크기는 일반 사람들과 구별되지 않음을 발견했다. 따라서 우리가 흔히 말하는 머리 좋은 사람은 머리가 크다 는 항간의 주장은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하면 사실이 아니라고 반론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Galton이 지능을 측정하려고 의도한 검사는 지능을 수적으로 표현하려는 방법 이어서 타당한 것으로 보이진 않지만, 그는 심리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추정에 중요한 역할을하는 상관계수를 창안하였으며, 인간의 지능에 관한 검사들을 개발하려고 시도한 첫 번째 사람으로서 평가된다.

하고 싶은 말
필요한 내용만 간추려 작성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키워드
주의, 발달, 주의상태, 성의, 주의발달, 주의선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