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29일 목요일

주의발달 주의의 개인차(지속적 주의에서의 개인차, 주의집중에서의 개인차, 주의발달의 개인차)

주의발달 주의의 개인차(지속적 주의에서의 개인차, 주의집중에서의 개인차, 주의발달의 개인차)
[주의발달] 주의의 개인차(지속적 주의에서의 개인차, 주의집중에서의 개인차, 주의발달의 개인차).hwp


목차
주의발달 주의에서의 개인차

I. 지속적 주의에서의 개인차

II. 주의집중에서의 개인차

III. 다른 관련 영역에서의 개인차
1. 활동수준
2. 충동의 통제
3. 정서
4. 주의력 결핍

본문
주의발달 주의에서의 개인차

1. 지속적 주의에서의 개인차

우선 지속적 주의에서의 개인차 에서는, 한 자극을 계속 제시하거나 같은 자극을 여러 번 제시하는 상황에서 지속적인 주의의 개인차가 비교적 크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즉 같은 자극을 여러 번 제시하는 상황에서 어떤 아이는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반면, 다른 아이는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수 있다. 이는 개개인에 따라 얼마든지 개인차가 나타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생후 1년부터 이러한 개인차는 점차 안정적이 된다. 즉 1살 이상 된 유아들은 이제 또래의 아이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주의를 보이게 된다.
예를 들어서 반복된 자극을 계속해서 보여주게 되면, 어떤 아기들은 처음 몇 번의 시행에서만 자극에 주의를 기울이고 금방 습관화된 반응을 보이게 된다. 반면에, 다른 아기들은 12번이나 16번 정도의 같은 자극이 모두 다 종료되어질 때까지도 여전히 자극에 계속 주의를 집중하기도 한다. 그렇다면 과연 왜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일까? 이러한 실험에서 얻은 결론은 대체로 지속시간이 짧을수록 새로운 자극에 대해 더 큰 반응을 하게 되고, 운동발달이 더 많이 되며, 개념형성과 변별학습이 더 잘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하고 싶은 말
필요한 내용만 간추려 작성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키워드
개인차, 주의, 주의발달, 발달, 지속적, 주의집중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