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29일 목요일

지도성 지도성의 개념(정의), 지도성과 직권력, 지도성(지도력)의 기능과 기술(카츠, 와일즈, 본디, 서지오바니의 지도성 기술)

지도성 지도성의 개념(정의), 지도성과 직권력, 지도성(지도력)의 기능과 기술(카츠, 와일즈, 본디, 서지오바니의 지도성 기술)
[지도성] 지도성의 개념(정의), 지도성과 직권력, 지도성(지도력)의 기능과 기술(카츠, 와일즈, 본디, 서지오바니의 지도성 기술).hwp


목차
지도성의 개념

I. 지도성의 정의

II. 지도성과 직권력

III. 지도성의 기능과 기술
1. 지도성의 기능
2. 지도성의 기술
1) 카츠(Katz)의 세 가지 기술
2) 와일즈(Wiles)와 본디(Bondi)의 네 가지 기술
3) 서지오바니(Sergiovanni)의 다섯 가지 기술


본문
지도성의 개념

1. 지도성의 정의

지도성(leadership)이란 조직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지두 조건정비, 감독의 촉진작용을 발휘하는 것 으로 그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으나 그 관점이나 접근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먼저, 에치오니(Etzioni)는 지도성은 본질적으로 규범적 이며 주로 개인의 특성에 기초한 권력 으로 보았으며, 림프햄(J. Lipham)은 조직의 목적과 목표를 달성하거나 변화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구조나 절차를 창출하는 것 으로 보았다.
스톡딜(Ralph M. Stogdill)은 목표설정과 목표달성을 위해 조직화된 집단의 활동에 영향을 주는 과정 으로 지도성을 규정하고 있다. 특히 그는 지도성에 대한 여러 정의들을 관찰한 다음, 지도성의 범주를 10가지 즉, (1) 집단과정으로서의 지도성 (2) 인성특성으로서의 지도성 (3) 복종시키는 기술로서의 지도성 (4) 영향력 행사로서의 지도성 (5) 행위로서의 지도성 (6) 설득의 형태로서의 지도성 (7) 목표성취수단으로서의 지도성 (8) 상호작용의 영향으로서의 지도성 (9) 분화된 역할로서의 지도성 (10) 구조창출로서의 지도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허시(Paul Hersey)와 블랜차드(Kenneth H. Blanchard)는 지도성의 일정한 상황 하에서 목적달성을 위해 개인이나 집단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으로 정의하였다. 그래서 그들은 지도성(L : leadership)을 지도자(L : leader)와 추종자(f : follower) 및 상황변인(sn : situation)들 간의 함수관계(function)로 나타낼 수 있다고 보고, 이를 L=f(l . f . sn)으로 수식화하였다.
지도성의 개념과 관련하여 이론적으로나 실증적으로 현재까지 확인된 바를 집슨(C. Gibson)등은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1) 지도성의 개념은 관리의 개념과 동일한 것은 아니다.
(2) 지도성의 개념은 복잡하다.
(3) 지도성의 속성은 경험과 훈련과정 및 분석을 통해 개발되어 질 수 있다.
(4) 지도성의 효과성은 지도자와 추종자 그리고 상황변인 사이의 적합성에 따라 달라진다.

하고 싶은 말
필요한 내용만 간추려 작성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키워드
지도성, 지도, 기술, 직권력, 와일즈, 카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