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지방 I.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II. 다불포화지방산(PUFA) III. 필수지방산(EFA) * EPA, DHA IV. 지단백질 V. 지방의 섭취량 # 참고문헌 본문 지방 지방(fat)은 체내 지방의 저장형태라고 할 수 있는 중성지방(thglyceride), 복합지질, 유도지질의 세 가지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중성지방은 1분자의 글리세롤(glycerol)과 3분자의 지방산(fatty acid)이 결합된 형태로서 주로 저장지방으로 지방조직에 존재하고 일부는 혈액 중에 존재한다. 복합지질로는 인지질, 당지질, 지단백질(lipoprotein) 등이 있고 유도 지질로는 글리세롤, 지방산, 콜레스테롤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은 체내에서 직접적인 에너지원으로 이용된다. (1) 포화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 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탄소결합의 형태에 따라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으로 구분되며, 포화지방산은 탄소분자에 수소가 포함되어 있고 융점이 높은 특성을 갖고 있어 상온에서 주로 고형이며 동물성 지방에 많이 포함되어 혈중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경향이 있다. 불포화 지방산은 탄소가 이중 결합을 이루어 탄소에 수소가 완전히 포화되지 않는 결합형태로서 주로 액상으로 식물성유, 어유에 많이 포함되어 있어 혈중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동물성이라고 해서 무조건 포화지방산은 아니며, 식물성이라고 해서 모두가 불포화 지방은 아니다. 참고문헌 <식사요법> 김명희, 김미현 외 3명 저 / 광문각 / 2011 <질환에 따른 식사요법> 장혜순, 서광희 외 3명 저 / 신광출판사 / 2014 <식사요법 원리와 실습> 구재옥, 김원경 외 3명 저 / 교문사 / 2007 <영양과 식사요법의 간호적용> 김매자, 송미순 외 1명 저 / 정문각 / 2009 <식사요법실습> 최미숙, 서광희 외 3명 저 / 파워북 / 2009 하고 싶은 말 필요한 내용만 간추려 작성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키워드 지방, 지방산, 불포화, 필수지방산, 지단백질, 불포화지방산 |
2016년 9월 29일 목요일
지방 지방의 분류 -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다불포화지방산(PUFA), 필수지방산(EFA), 지단백질, 지방의 섭취량
지방 지방의 분류 -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다불포화지방산(PUFA), 필수지방산(EFA), 지단백질, 지방의 섭취량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