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지역사회 정신건강관리 I. 정의 II. 현황 III. 특성 IV. 형태 V. 방향 & 참고문헌 본문 지역사회 정신건강관리 지역사회 정신건강(community mental health)은 케네디(J. F. Kennedy) 대통령이 주창한 용감한 새로운 시대 라는 운동으로 결실을 얻게 되었다. 초창기인 1960년에서 1970년대에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운동의 전성기였으나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에는 쇠퇴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초기에 들어서는 집 없는 부랑인과 정신장애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고조 되면서 지역사회 정신건강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I. 정의 지역사회 정신건강은 정신건강관리의 대상이 단순한 개인이 아니라. 환경 내에서 상호작용하는 개인에게로 초점이 변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병원 뿐 아니라 병원 밖이나 대상자 가정이나 대상자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서 정신건강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사회 정신건강은 정신건강을 목적으로 지역사회에서 행해지는 모든 활동 을 포함한다. 1963년 미국의 지역사회 정신건강센터법은 다섯 가지 치료 서비스 형태를 규정하였고, 이는 지역사회 정신건강과 거의 동일한 의미로 통용되고 있다. 이 다섯 가지 형태는 입원서비스 외래서비스, 부분입원, 응급서비스, 자문과 교육이다. II. 현황 현행 지역사회 정신건강관리체계에 속해 있는 주요 기관을 분류해 보면 (1) 개인, 종합, 대학병원 정신과 (2) 국 공립정신병원 (3) 사립정신병원 (4) 정신요양원이다. 현행체계는 각 기관별 특성이 없이 병상수나 치료인력의 수에 의해 구분될 뿐, 다양한 치료적인 서비스에 따라 기능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다. 참고문헌 질병예방관리와 건강증진 / 남철현 저, 계축문화사, 2009 질병의 예방과 관리 / 이택구 저, 계축문화사, 2000 임상 영양관리 / 장유경, 변기원 외 4명 저, 효일, 2011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 조병희 저, 집문당, 2015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하고 싶은 말 필요한 내용만 간추려 작성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키워드 사회, 지역, 건강, 지역사회, 개선방안, 정신건강 |
2016년 9월 29일 목요일
지역사회 정신건강관리 지역사회 정신건강의 정의(개념)와 특성 및 현황, 지역사회정신건강 개선방안
지역사회 정신건강관리 지역사회 정신건강의 정의(개념)와 특성 및 현황, 지역사회정신건강 개선방안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