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 문헌고찰 2. 임부와 관련된 정보 3. 임부에 대한 임상검사 4. 임부에 대한 Order 5. Proceeding Data 6. Vital Sign 과 I&O Check 7. 투여된 약물 8. 간호과정 9. 환자교육 10. 참고문헌 본문 Ⅰ. 문헌고찰 - 전치태반(Placenta Previa) 1. 전치태반의 정의와 분류 (1) 정의 ① 태반이 자궁목의 속구멍(internal os)에 매우 근접해 있거나 덮고 있을 때 (2) 분류 ① 전전치태반(Total placenta previa) ㆍ Internal os에 태반에 의해 완전히 덮여져 있는 경우 ② 부분전치태반(Partial placenta previa) ㆍ Internal os에 태반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여져 있는 경우 ③ 변연전치태반(Marginal placenta previa) ㆍ 태반의 끝부분이 Internal os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는 경우 ㆍ 분만 중 자궁목 개대 시 내자궁구를 덮게 됨 ④ 하위전치태반(Low-lying placenta previa) ㆍ 태반이 자궁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ㆍ Internal os와는 떨어져 있는 상태 <중 략> ③ Hb, Hct, 응고요소의 변화 등 임상검사를 정기적으로 시행 ④ 무자극 검사, 생리학적 상태,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태아안녕을 평가 ⑤ 질이나 직장검진, 성교, 질세척, 관장은 금지 ⑥ 투약이나 치료에 대한 지시 잘 이행 (6) 분만 ㆍ 37주가 되고 폐성숙이 입증되면 제왕절개 시행 2. 자가수혈 (1) 정의 : 환자가 수술 전에 자신의 혈액을 미리 채혈해 두었다가 수술할 때 또는 수술 후에 다시 수혈받는 방법 (2) 자가수혈의 이점 ㆍ 자신의 혈액을 다시 수혈받는 것 → 타인의 혈액 수혈로 인해서 일어날 수 있는 수혈거부반응이나 AIDS 등의 감염을 예방 ㆍ 미리 채혈을 함으로써 골수의 조혈기능이 촉진 → 수술 후에 혈액학적 회복이 빨라짐 ㆍ 희귀한 혈액형을 가진 사람의 경우 → 본인에게 필요한 수혈용 혈액을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됨 (3) 자가수혈의 방법 ㆍ시술방법 : 대부분의 경우 팔꿈치 안쪽의 혈관을 통하여 전혈을 채혈 ㆍ소요시간 : 1시간 이내 ㆍ혈액보관기간 : 30~35일 정도 참고문헌 이경혜 외, 여성건강간호학, 현문사(2010) 김강미자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현문사(2006) 산과학, 대한산부인과학회(2007) 산부인과학 지침과 개요, 대한산부인과학회(2008) 한진숙교수님, 여성건강간호학 Ⅱ 강의록, 건양대학교 간호학과(2010) 하고 싶은 말 과제하느라 다들 바쁘시죠?? 열심히 밤새워가며 작성한 과제구요 참고하시라고 올립니당 ㅋㅋ 키워드 placenta previa, 전치태반, 여성실습, 분만케이스 |
2016년 9월 28일 수요일
여성실습 분만실 케이스 전치태반(Placenta Previa)
여성실습 분만실 케이스 전치태반(Placenta Previa)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