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9월 20일 수요일

인간의 성장과 발달 태내기, 신생아기, 영유아기의 신체, 심리, 사회적 영역

인간의 성장과 발달 태내기, 신생아기, 영유아기의 신체, 심리, 사회적 영역
[인간의 성장과 발달] 태내기, 신생아기, 영유아기의 신체, 심리, 사회적 영역.hwp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태내기의 발달
2. 영아기의 발달
3. 걸음마기의 발달
4. 학령전기의 발달

Ⅲ. 결론

Ⅳ. 소감

Ⅴ. 참고문헌

*발표 후 질문과 답변


본문
2)심리적 측면의 관심영역 - 사회복지실천에서 심리학적 문제와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태내기 문제
① 원하지 않는 아이의 임신으로 인한 임산부의 부정적 심리 반응 : 성폭력에 의한 임신, 태아의 유전성 질환 등은 임산부에게 부정적 심리반응을 가져다 준다. 뿐만 아니라 이는 다른 생활영역에까지도 파급효과가 매우 크므로 출산 또는 낙태의 선택 및 사회생활 계획 수정에 대하여 임산부와 그 가족의 올바른 판단을 도울 수 있어야 한다. 덧붙여 낙태는 연간 출생아의 두 배가 될 정도로 심각한 수준에 들어섰음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실천에서는 이에 대해 관심을 거의 기울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학술적 연구와 더불어 에이즈, 동성행위 등과 같은 사회문제에 대한 대처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② 임신은 하였으되 이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경우 임산부가 느끼는 불안함 : 임산부가 임신과 출산과정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는 경우 임산부는 불안감에 휩싸인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이들을 위하여 정보 및 지식제공에 목적을 둔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사회적 지지망을 활성화시켜 적극적 원조를 하여야 한다.
③ 임신기간 중 느끼는 많은 정서적 변화 : 임신 기간 중에는 신체적 변화 뿐만 아니라 많은 정서적 변화가 유발된다. 게다가 불안,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정서 상태는 태아에게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사회복지사는 임산부의 정서를 조절하고 심리적 안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④ 산후우울증 : 대부분의 산모들은 출산 후에 산후우울증을 경험한다. 사회복지사는 산모와 그 가족들과의 상담을 통하여 산후우울증을 조기 극복할 수 있도록 돕고 사회적 지지망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개입을 할 필요가 있다.


3)사회적 측면의 관심영역 - 사회복지실천에서 사회학적 문제와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태내기 문제 ① 임산부의 경제적 안정 : 사회복지실천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할 태내기 문제 중 사회적 측면은 가족의 사회경제적 안정성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사회적 보호를 필요로 하는 가족의 임산부들에게 필요한 자원을 연결하고, 직간접적 지원 및 서비스를 연결하여 태아의 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안정적 물리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② 임신 중에도 직장생활을 하는 경우 : 직장으로부터 얻는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는 태아의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사회복지사는 상담을 통하여 임산부와 그 가족들에게 가사분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3-1 태내기 사회복지실천의 현황
1) 우리나라의 정부지원정책
<임산부 및 가정>
-보육 교육비 전액지원 대상 확대(2011년3월 시행)


키워드
영유아기, 신체, 심리, 아기, 영역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