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배당지표 2.MM의 배당이론 3.배당정책을결정하는현실적인요인들 4.배당 정책 결정시 고려사항 5.자사주 매입 대 현금 배당 6.주식배당과 주식분할 본문 기업의 배당수준을 나타내는 척도로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지표가 사용된다. 주당배당금(dividend per share) : 주식 1주에 대한 현금 배당금액 * 주당배당금 = 총배당금 / 발행주식수 배당수익률(dividend yield) : 주당배당금을 주가로 나눈 값으로 실무에서는 시가배당률이라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배당수익률 = (주당배당금 / 주가) *100 (3) MM의 배당이론 증명 MM의 이론은 기초의 주가가 기말의 배당과 기말의 주가를 합한 금액을 적정한 할인율로 할인한 현가와 같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P0 = 1/(1+k) *(D1+P1) P0 : 기초의 주가 K : 자기자본비용(=re) D1 : 기말의 주당배당금 P1 : 기말의 주가 (3) MM의 배당이론 증명 앞의 식을 좀 더 정리해서 MM의 배당이론을 설명해 보기로 하자. 0시점에서의 발행주식수를 n이라 하고 1기간 후에 새로운 투자를 하는 경우, 이에 소요되는 자본을 P1 의 가격으로 m주식수만큼 신규로 발행하여 조달한다면 앞의 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n*P0 = 1/(1+k) * n*D1 + (n+m)P1 - m*P1 이처럼 0시점의 발행주식의 총 가치 n*P0 는 1기후의 총배당액 n*D1 과 1기 후의 총발행 주식가치 (n+m)P1 에서 신규발행 주식가치 m*P1 을 차감한 가치의 합계를 k로 할인한 값과 같다. 2. 기업가치를 감소시키는 요인 ① 발행비용 : 주식 발행규모가 크지 않을 경우 상당부분 차지 → 기업가치 하락 ② 세금 : 배당소득에 대한 세금 > 자본이득에 대한 세금 → 배당기업의 적정 주가 < 비배당기업의 적정 주가 → 배당기업의 가치 < 비배당기업의 가치 MM이론은 완전자본시장을 가정하는 경우에만 성립. 세금, 발행비용, 거래비용, 정보비대칭 등의 요인은 기업의 가치를 감소 혹은 증가시킬 수 있음. 키워드 배당정책, 배당, 재무, 정책 |
2017년 9월 23일 토요일
재무 배당정책
재무 배당정책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