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9월 23일 토요일

소비자 행동론 스타 광고

소비자 행동론 스타 광고
[소비자 행동론] 스타 광고.docx


목차
<목차>
1장. 여러분은 누구의 하루를 살고 계십니까?

1-1. 스타에 의존하는 광고가 많은 사회 문화적 배경
1-2. 스타 광고의 양면성
-소비자적 측면
-광고주적 측면

*스타를 배제하고 성공할 수는 없을까?
2장. 소소한 일상의 역습-나는 스타가 아닙니다

2-1. 최근 소비 트렌드는?
2-2. 일반 소비자 참여 트렌드를 반영한 광고의 부상
1라운드- 이영애를 내세운 자이 vs 대림 e 편한 세상
2라운드- 소녀 시대 웅진 코웨이 vs 시후 다큐 웅진 코웨이
3라운드- 빅뱅 옵티머스 빅 vs 아빠의 생일 아이폰
4라운드 - 멜론 시리즈
5라운드 - 후시딘 상처 시리즈
2-3. 일반 소비자 참여 광고의 종류
2-4. 일반 소비자 참여 광고의 효과
-소비자적 측면
-광고주적 측면

3장. 신선함과 식상함의 외줄타기
3-1. 일반 소비자 참여 광고의 방향 제시
3-2. 발표를 마치며

부록.
-일반인 참여 광고 사례
-관련 자료 출처


본문
1-2. 스타 광고의 양면성
-소비자적 측면
긍정적: 소비자에게는 후광 효과를 기대하게 하고, 좋아하는 스타와 동일시 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하여, 자기 만족의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최근 트렌드를 광고를 통해 알 수 있다.
부정적:소비자적 측면에서도 높은 광고 제작비가 소비자가 구매하는 제품의 가격상승으로 전가되거나, 올바르지 않은 소비욕구를 조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광고주적 측면
긍정적: 광고주로 하여금 단기간에 소비자에게 제품의 이미지를 각인시킬 수 있고, 구전 마케팅 기회의 증대와 브랜드 가치 제고의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용을 통해 광고 실패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부정적: 지나친 스타 광고는 광고주에게 그늘효과, 그림자 효과, 간섭 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2장. 소소한 일상의 역습-나는 스타가 아닙니다

2-1. 최근 소비 트렌드는?
최근의 소비 트렌드 -> '소비자 참여'

☞ 생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프로슈머로서의 소비자
요즈음의 소비자는 과거보다 똑똑하다. 그리고 미래의 소비자는 지금보다도 더 똑똑해질 것이다. 소극적이고 수동적이며 약자의 입장이었던 과거의 소비자와는 다르게 적극적으로 생산에 의사 및 의견을 제시하고 참여하는 소비자의 역할이 점점 강조될 것이다. 기업의 신제품 개발에 참여하고, 모니터링 등의 활동을 통해서 제품의 단점과 문제점을 개선하는 등의 활동에 소비자가 주역이 될 것이다. 미래에는 기업과 소비자가 서로 협력하여 제품을 생산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기업은 소비자가 원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소비자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제품이 출시되도록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프로세스가 일반화 될 것으로 예측된다.

☞ 프로슈머 2.0 시대


참고문헌
참고 문헌
허경옥 외 <소비자 트렌드와 시장> -교문사-
김재휘 외 <광고 심리학> - 커뮤니케이션북스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09112420151
http://naver.tvcf.co.kr
http://qtv.freechal.com/
http://blog.naver.com/kgh4525?Redirect=Log&logNo=110049171644&vid=0
http://www.iope.co.kr/iopestory/index.html
http://blog.naver.com/vhtm2547?Redirect=Log&logNo=140092013271&vid=0
http://www.mk.co.kr
http://club.cyworld.com/Club/Board/General/ListNormal.asp?club_id=55032336&board_no=3&list_type=2&cpage=1&search_block=1&Scpage=&search_type=&search_keyword=&board_type=1&show_type=1&headtag_seq=#


키워드
소비자, 광고, 트렌드, 소비자적, 참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