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서 론 2.본 론 (1).유동성 ①유동성의 개념 ②유동성 비율 (2).재무탄력성 (3).구체적 사례-동부하이텍 (4).동종기업간의비교-하이닉스 3.결 론 본문 1.서 론 재무상태표는 손익에 관한 보완적 정보를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경제적 자원, 재무구조, 유동성과 재무건전성 및 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렇게 여러 가지 정보를 제공해주는 재무상태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성격 중에 하나가 바로 유동성(liquidity)과 재무탄력성(financial flexibility)이다. 얼핏 보면 이 두 가지 개념이 같은 것으로 생각되어 질 수 있다. 하지만 구체적으로 알아보면 이들 개념 간에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지금부터 이러한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이들의 개념에 대해 정리하고 유동성과 재무탄력성이 실제 우리 기업에서는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구체적인 수치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순서에 따라 공부할 때 기업경영에 있어 유동성과 재무탄력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생각하며 알아보는 것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2.본론 (1)-①유동성의 개념 유동성 이란 기업 금융기관 등 경제주체가 갖고 있는 자산을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쉽게 말해 현금으로 바꿔 쓸 만한 재산을 얼마나 갖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말이다. 현금화할 수 있는 재산이 많으면 유동성이 풍부하다고 표현하고, 반대의 경우엔 유동성이 부족하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재산 중에는 물건을 사고팔 때 바로 대금결제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현금이 가장 유동성이 높다. 당좌예금ㆍ보통예금처럼 언제든지 현금으로 빼 쓸 수 있는 예금도 유동성이 높은 편이다. 키워드 재무탄력성, 탄력성, 회계학, 재무, 유동성 |
2017년 5월 31일 수요일
회계학 유동성과 재무탄력성
회계학 유동성과 재무탄력성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