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Ⅰ. 연구의 배경과 목적 - 힙합 문화에 대한 소개 - 한국 힙합음악의 급격한 발전과 체계화의 필요성 - 논문의 목적 : 가사쓰기의 체계화와 메시지의 설명을 통한 편견의 종식 Ⅱ. 가사 쓰기 1. 비트와 마디, 플로우 다이어그램 2. 라임 1) 각운과 모음운 2) 두음/자음운 3) 다음절라임 3. 플로우 1) 플로우의 구분 2) 리듬감 있는 플로우 4. 표현기법 Ⅲ. 가사의 메시지 1. 사회적 이슈 1) 노동 착취 2) 물질만능주의 3) 외모지상주의 2. 자신의 경험 1) 스웨거 2) 신변잡기적 가사 3. 허구, 스토리텔링 4. 사랑 5. 클럽/파티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 Ⅰ. 연구의 배경과 목적 힙합이라는 문화가 미국의 슬럼 빌리지에서 시작한 후로 약 30년이 지났다. 그 동안 힙합음악은 수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으며, 이제는 빌보드 차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명실상부한 글로벌 문화가 되었다. 힙합이라는 용어는 통상적으로 랩(Rap, MCing)과 관련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본디 이 용어는 1970년대와 80년대 전후 뉴욕 등지의 대도시 흑인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형성된 다양한 표현예술, 그리고 그들의 자유와 저항정신이 담긴 문화 및 생활방식 전반을 광범하게 일컫는 말이다. 즉, 이 용어는 엠씨잉(MCing, 랩), 디제잉(DJing)과 비보잉(B-boying), 그래피티(graffiti), 패션과 같은 생활방식 전체를 포함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 중 한 부분인 엠씨잉의 한국어적 구사에 대하여 다룰 것이다. 엠씨잉이란 디제이(DJ)가 만들어낸 비트 위에 엠씨(MC, Mic Checker 또는 Master of Ceremony)가 가지각색의 방식으로 가사를 얹는 것을 말한다. 가사에는 앞으로 이 논문에서 논하게 될 플로우와 라임, 표현기법이 사용되고, 엠씨가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담긴다. 한국에서의 엠씨잉의 시작은 1980년대 SNP 등의 힙합 소모임이다. 이를 전국적인 움직임으로 바꾸어 놓은 것이 서태지와 아이들의 난 알아요 이다. 이후 수많은 엠씨들이 각자의 한국어로의 랩 구사 방식을 구축해나갔다. 하지만, 영어로의 랩 구사 방식에 비해 한국어로의 랩 구사 방식은 한참 뒤떨어져 있었다. 1999년 버벌진트의 Modern Rhymes(EP)에서 처음 사용된 다음절라임에 의해 한국의 엠씨잉은 발전하게 되는데, 이후 수많은 랩 기법들이 만들어지고 한국힙합의 폭은 더욱 넓어지게 된다. 본 논문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것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로, 아직 체계화되어 있지 않은 한국의 엠씨잉의 방법론을 정립하는 것이다. 물론, 음악을 어떠한 방식으로 정형화할 수는 없겠지만, 한국에서의 힙합음악의 발전이 이루어진 것이 매우 최근인 점을 감안할 때 한국어로의 엠씨잉의 방법론에 대한 체계적 정리는 필요하다. 그동안 한국에서 만들어져 온 랩 스킬의 정리와 분석을 통해 기존의 엠씨들에게는 도움이 되며, 랩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지침이 되는 내용을 담아낼 것이다. 참고문헌 폴 에드워즈 김영대, 김봉현 외 3명 <한국힙합, 열정의 발자취> 한울, 2010 김영대, 김봉현 <힙합, 우리시대의 클래식> 한울, 2010 이효영 <힙합 파라다이스> 꾼, 1998 양재영 <힙합 커넥션, 비트, 라임 그리고 문화> 한나래, 2001 잭 오말리 그린버그 <제이지 스토리, 빈민가에서 제국을 꿈꾸다> 시드페이퍼, 2011 논문 독고현 <힙합문화와 음악교육컨텐츠- 엠씨잉과 비보잉을 중심으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1 정해숙 <청소년 랩에 대한 라깡 정신분석적 탐구 - 음악치료로서의 랩>, 명지대학교, 2010 웹사이트 힙합플레이야 리드머닷넷 HiphopLE 하고 싶은 말 좀 더 업그레이드하여 자료를 보완하여, 과제물을 꼼꼼하게 정성을 들어 작성했습니다.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구입자 분의 앞날에 항상 무궁한 발전과 행복과 행운이 깃들기를 홧팅 키워드 문화, 엠씨잉, 한국어적, 중, 한국어, 구사 |
2017년 5월 30일 화요일
힙합(Hiphop)문화 중 엠씨잉(MCing)의 한국어로의 구사에 대한 연구
힙합(Hiphop)문화 중 엠씨잉(MCing)의 한국어로의 구사에 대한 연구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