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월 30일 화요일

노동자 인권에 대한 문학작품 연구

노동자 인권에 대한 문학작품 연구
노동자 인권에 대한 문학작품 연구.hwp


목차
Ⅰ.서 론 -노동인권과 노동운동의 정의

1. 노동인권의 정의

2. 노동운동의 정의

1)노동운동이란?
2)국내에서의 태동

Ⅱ. 문학작품을 통한 노동인권과 노동운동의 고찰 및 사례

1. 박노해 시인 - '손무덤'

2. 홍윤숙 시인 - '꿈을 찍는 소녀들 - 구로 공단에서'

3. 프란체스코 다다모 작 - '난 두렵지 않아요'

4. 박채란 작 - '국경 없는 마을'

5. 육성효 감독 작 - '방가? 방가!' 시나리오

6. 조영래 작 - '전태일평전'

Ⅲ. 결론 - 노동운동과 노동인권에 대한 실천적 방안

1. 제도적 차원
2. 대학생으로서의 실천적 방안

Ⅳ. 참고문헌



본문
Ⅰ.서 론 -노동인권과 노동운동의 정의

1. 노동인권의 정의

2. 노동운동의 정의

1)노동운동이란?
2)국내에서의 태동

Ⅱ. 문학작품을 통한 노동인권과 노동운동의 고찰 및 사례

1. 박노해 시인 - '손무덤'

2. 홍윤숙 시인 - '꿈을 찍는 소녀들 - 구로 공단에서'

3. 프란체스코 다다모 작 - '난 두렵지 않아요'

4. 박채란 작 - '국경 없는 마을'

5. 육성효 감독 작 - '방가? 방가!' 시나리오

6. 조영래 작 - '전태일평전'

Ⅲ. 결론 - 노동운동과 노동인권에 대한 실천적 방안

1. 제도적 차원
2. 대학생으로서의 실천적 방안

Ⅳ. 참고문헌



참고문헌
근로기준법, 제24차 일부개정 2012.2.1 법률 제11270호 제 1조.

세계인권선언, 제23조 3,4항

노동운동 勞動運動, labour movement | 네이버 백과사전

1980년대 변혁적 노동운동의 형성과 분화에 관한 연구, 유경순, 학위논문(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 한국사학과 2012. 2

박노해. 『노동의 새벽』. 느린걸음. 2004

6) 홍윤숙, 『꿈을 찍는 소녀들 - 구로 공단에서』

7) 지은이 박채란, 『국경 없는 마을』, 출판사 서해문집, 출판연도 2004년 11월 20일,

8) 조영래 저, 『전태일평전』, 사단법인전태일기념사업회, 2009,




키워드
문학작품, 노동자, 문학, 작품, 노동인권, 노동운동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