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9월 2일 토요일

다문화 이주여성 인권실태와 그 문제점

다문화 이주여성 인권실태와 그 문제점
다문화 이주여성 인권실태와 그 문제점.hwp


목차
- 목 차 -


서론
1. 이주여성의 개념

2. 이주여성의 현황
1)성별현황
2)국적취득별 현황
3)출신국별 현황
3. 이주여성의 증가원인

본론
4. 국내 이주여성의 인권실태와 그 문제점
1)노동영역에서의 이주여성
2)국제결혼영역에서의 이주여성
3)성산업에 유입된 이주여성

5. 이론으로 본 이주여성의 문제
1)생태학적이론
2)문화의 다양성
3)거시적이론
4)문화적응이론

결론
6. 해결방안
1) 이론으로 본 해결방안
①문화다원주의와 다문화주의
②생태학적 체계이론
③사회체계이론
④가족체계이론
⑤문화적응이론
2) 거시적 해결방안

7. 현재 진행하고 있는 다문화 이주여성 프로그램
8. 참고문헌


본문
결혼이주민의 국적취득 현황을 살펴보면, 국적을 취득한 결혼 이주민 여성은 65,487명이며 국적 미취득 여성은 123,093명으로 국적을 취득하지 못한 결혼 이주민 여성이 57,606명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출신국별 현황


결혼 이주민 여성의 출신국별 현황을 살펴보면, 한국계 중국인이 53,546으로 가장 많았으며 2위는 중국여성이 53,195명으로 나타났다. 1,2위를 합치면 중국에서 온 이주민 여성이 총 106,741명으로 총 이주민여성(188,580)의 약 5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우리가 국제결혼하면 흔히 떠올리는 나라인 베트남과 필리핀이 3,4위를 차지했다.

3. 이주여성의 증가 원인

이주의 여성화가 일어나는 것은 기본적으로 세계적인 빈곤의 여성화에 기인한다. 이주여성이 증가하는 이유는 포괄적으로 보아 3가지로 말할 수 있는데, 첫째는 고용하는 나라에서 단순직 산업노동과 가사노동이나 연예 영역 등 서비스 분야에서의 여성노동력이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둘째, 이주를 위한 고액의 송출비용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송출을 담당하고 있는 중개 시스템이 비리가 많아 거액의 송출비가 발생하는데, 여성의 경우 송출 브로커 비용이 남자보다 저렴하다. 송출 비용이 보통 1/2에서 2/3선이 들기 때문에 부모와 남편에게 밀려 이주노동을 떠난다. 세 번째는 다문화간 결혼 소위 국제결혼으로, 송출국과 유입국에서 보다 빈곤한 계층 간에 발생한다. 이주여성의 국가에서 여성의 경우는 브로커 비용이 필요 없고 잘하면 본국 집안의 경제를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국제결혼 이주를 하게 되는 반면에, 유입국의 경우 가난한 도시 빈민이나 결혼하기 힘든 농촌의 남자나 장애자들이 국제결혼알선업체를 통해 국제결혼을 해서 이주 여성이 늘게 된


참고문헌
8. 참고문헌


김엘림 외1명, 외국인여성노동자의 인권보장연구, 여성개발원, 199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근홍 , 2006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최옥채 외 3명, 양서원, 2011

Christine l. Bennett, 다문화 교육 - 이론과 실제, 2009

정정순(보건학박사학위논문), <결혼이주여성의 임신, 출산과 문화적응>, 인제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2010

김보라, <국제결혼 이민 실태와 이민자 여성의 한국 사회 적응 : 경기도 남양주시의 사례>,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 2008

김현미, "여성의 빈곤화와 이주여성", 이주여성문제 어떻게 볼 것인가?, 이주여성인권센터 창립2주년
기념심포지엄, 2003


프로그램관련 자료 출처
http://ilsaeng2.blog.me/70123683926
http://blog.daum.net/legato21/56
http://blog.naver.com/samulhacker?Redirect=Log&logNo=150125235162
http://www.iij.co.kr/detail.php?number=29608&thread=22r12
http://blog.daum.net/qlc1004/6270811



키워드
인권실태, 여성, 이주, 문제점, 이주여성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