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월 1일 월요일

초등 4학년 사회과 단원 재구성 및 교수 학습 계획-우리 지역의 자연환경과 생활 모습

초등 4학년 사회과 단원 재구성 및 교수 학습 계획-우리 지역의 자연환경과 생활 모습
초등 4학년 사회과 단원 재구성 및 교수 학습 계획-우리 지역의 자연환경과 생활 모습.hwp


목차
Ⅰ. 단원 소개
1. 선정 단원
2. 단원의 개관
3. 단원의 목표
4. 단원의 학습 계열

Ⅱ. 단원의 재구성 방안
1. 단원의 선정 이유
2. 단원의 재구성 방안
3. 적용된 학습 모형
4. 적용된 교육과정 관점
5. 재구성 단원의 내용 개관 및 주안점
6. 단원의 지도 계획
7. 단원의 지도상 유의점

Ⅲ. 단원의 교수 학습 과정안
2/17차시 약안
7/17차시 약안
8,9/17차시 세안
13/17차시 약안
16/17약안

Ⅳ. 교수 학습 자료

Ⅴ. 참고문헌



본문

1. 선정 단원
4-1학기 1. 우리 지역의 자연환경과 생활 모습

2. 단원의 개관
이 단원은 우리가 사는 지역을 위치, 지형, 기후 등의 자연환경과 인구와 취락, 자원과 산업, 교통과 통신, 문화 등의 인문환경 측면으로 살펴봄으로써, 지역의 수준에서 인간의 생활과 자연환경과의 관련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자연환경을 바탕으로 우리 지역의 모습이 형성되었다는 점을 깨닫게 하고, 나아가 우리가 사는 지역에 대한 관심과 사랑하는 마음을 기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첫째 제재에서는 다양한 축척 및 주제의 지도를 통하여 우리 지역의 위치와 경계를 확인함으로써 지역 인식의 기초인 위치와 영역적 특성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둘째 제재에서는 인터넷과 같은 각종 매체를 활용하여 우리 지역의 지형과 기후 등 자연환경에 대한 정보와 자료를 조사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도록 하였다.
셋째 제재에서는 다양한 지도와 자료를 통하여 우리 지역의 인구, 인구 분포, 인구 밀도, 산업, 교통 등을 조사하여 우리 지역의 생활 모습에 대해 살피도록 하였다.
넷째 제재에서는 우리 지역의 성격을 잘 나타내는 장소, 경관, 현상 중에서 전형적이면서도 학습자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기 쉬운 장소, 경관, 현상을 선택하여 실제로 관찰, 견학, 조사함으로써 장소감을 체험하고 우리 지역의 자연적 인문적 특성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등학교 3-1 사회, 서울, 두산동아(주)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등학교 3-2 사회, 서울, 두산동아(주)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등학교 4-1 읽기, 서울, 두산동아(주)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등학교 6-1 사회, 서울, 두산동아(주)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등학교 사회 교사용 지도서 4-1, 두산동아(주)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등학교 사회 교사용 지도서 6-1, 두산동아(주)


키워드
학년, 사회과, 자연환경, 교수, 단원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