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 마중글 2 30년대 한국, 당시의 모더니즘 3. 김기림의 모더니즘 - 주지주의 3.1. 언어에 대한 그의 생각 3.2. 도시문명을 바라보는 태도 4. 기교주의 논쟁과 전체주의 시론 4.1. 기교주의 논쟁 4.2. 전체주의 시론 4.3. 과학적 시학 5. 김기림 시론의 근대인식이 지닌 의의와 한계 6. 배웅글 본문 1. 마중글 김기림은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시와 이론의 대표자로 시작활동을 병행하며 자신의 시론을 확립했던 시인이자 비평가다. 김기림이 활동하기 전 시대인 1920년대에는 낭만주의와 그를 잇는 상징주의 및 경향문학과 신경향파 등이 활동하던 시기였다. 당시엔 서구문학과 그 이론의 도입이 피상적 차원에 머물러 있었는데 비해 김기림, 최재서, 이양하 등이 활동했던 1930년대에는 영미문학 이론이 체계적이고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깊이 있게 탐구되었다. 그는 영미 주지주의 문학 이론을 자신의 관점에서 수용하고 그것을 토대로 시창작과 비평 활동을 펼쳤다. 김기림의 시론을 통해 우리는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시의 이론적 토대를 찾을 수 있다. 한국 시문학사에서 모더니즘은 1930대에 이르러 비로소 이론적 토대와 역사적 근거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김기림의 비평 활동은 그가 첫 번째 일본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조선일보 기자로 근무하면서 활동했던 1930~35년도까지와 1936년 다시 일본에서 동북제대에서 영문학을 전공하면서 한 활동기간, 그리고 8 15해방부터 그가 납북될 때까지의 활동기간 등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의 시론은 1930년대 초반에는 이미지즘적인 것이었다가 1930년대 중반에는 점차 기교주의를 비판하며 시대성과 가치의식을 결합한 주지주의적 경향으로 나타나 전체시론을 확립하고 1940년 이후에는 과학적 시학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참고문헌 참고 문헌 단행본 김기림, 『시원』, 1935. - 김기림, 「시의 회화성」, 『시원』, 1934. 김기림, 『예술』, 1935. - 김기림, 「객관세계에 대한 시의 관계」, 『예술』, 1935. 김기림, 『전집』, 심설당, 1988. - 김기림, 「모더니즘의 역사적 위치」, 1939. 김기림, 『시론』, 앞선책, 1994. - 김기림, 「시와 인식」, 『시론』. - 김기림, 「시의 시간성」, 『시론』, 1994. 김윤식,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일지사, 1976. 김학동, 『김기림 평전』, 새운사, 2001. 한계전, 『한국현대시론연구』, 일지사, 1983. 논문 김윤태, 「1930년대 한국 현대시론의 근대성 연구 : 임화와 김기림의 시론을 중심으로」, 서울대 (박사), 2000. 문혜원, 인식의 전환과 비평의 체계화, 김기림 시론 , 『한국근현대시론사』, 역락, 2007. 정순진, 「김기림 문학연구」, 충남대 (박사), 1989. 전일숙, 김기림 시론 연구 , 전남대(석사), 1989. 한상규, 김기림 문학론과 근대성의 기획 , 『한국현대시론사 연구』, 문학과지성사. 오형엽, 「1930년대 시론의 구조적 연구」, 고려대 (박사), 1998. 기타 참고문헌 『조선일보』 - 김기림, 오전의 시론 기초편 , 조선일보, 1935. 『신동아』 『인문평론』, 1939, 10. 『중앙』28호, 1936. 2. 키워드 김기림, 근대인식, 한국문학사, 시론 |
2017년 7월 31일 월요일
한국문학사 김기림의 시론과 근대인식 -1930년대 김기림 시론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사 김기림의 시론과 근대인식 -1930년대 김기림 시론을 중심으로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