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31일 월요일

한국문학사 `광장`의 이명준

한국문학사 `광장`의 이명준
[한국문학사] `광장`의 이명준.hwp


목차
Ⅰ 들어가며

Ⅱ 60년대 문학의 시작, 『광장』
1. 한국전쟁과 그 이후, 1950년대 전후문학
2. '저 빛나는 사월이 가져온 새 공화국'의 작품, 『광장』

Ⅲ 이명준이 지향하는 공간, '광장'
1. '광장'과 '밀실'
2. 탈출과 소통을 통한 '광장' 찾기

Ⅳ 이명준이 찾은 광장, '바다'
1. 바다가 가지는 의미
2. 개작에 따른 의미 변화
3. 그는 실패했는가?

Ⅴ 나오며

※ 참고문헌



본문
Ⅰ 들어가며
광복이후 발표된 한국 소설 중에서 최인훈의 『광장』만큼 자주 화제에 올랐던 작품도 흔하지 않다. 이 작품의 발표는 당시 하나의 충격이라 할 만한 것이었다. 전혀 이견이 없던 것은 아니었지만 이 소설에 대한 평가들은 대부분 격찬에 가까운 것이었다. 당시 평단의 중진이라 할 수 있는 백철이 이 소설을 두고 '남북 양쪽을 다 비판 폭로하고 맹렬하게 공격한 리얼리즘 소설'이라고 높게 평가한 데 이어 임헌영은 이 작품이 가지는 의의에 대해 '한 세대 지식인들의 이데올로기적 고뇌를 가장 객관적으로 정립시켰다'는 지적과 함께 최인훈을 '분단의 비극과 정치적 부조리를 가장 예리하게 파헤친 작가'라고 하는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또 김현의 경우에는 이 작품에 대해 거듭 높은 가치를 부여하면서 그를 '전후 최대의 작가'라고 하는 단언까지 서슴지 않고 있다. 몇몇 혹평이 존재하긴 했지만 이렇듯「광장」은 그 평가에 있어서 오랫동안 긍정적인 것들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이 소설에 대한 비판적 평가가 조금씩 늘어나고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여기서 '세월이 흐른다.'라는 말은, 작품은 홀로 초본에서 그대로 머물러 있는데 평단의 생각만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작품 자체도 개작에 개작을 거듭하며 조금씩 변화하였음을 말한다. 요컨대, 작품이 개작을 거듭하며 다시금 새로운 작품이 되고 그에 따른 평가도 또다시 새로이 이뤄져왔다는 것인데, 특히 긍정적 평가와 비판적 평가가 주로 맞부딪치는 지점은 민음사판에서 전집판으로의 개작이 이뤄진 부분이다. 적지 않은 수의 글들이 이 개작을 개악이라고 평가하고 있고 또한 반대편에도 많은 글들이 이 개작을 잘한 일이라고 평가하고 있기도 하다. 이처럼 개작을 두고 여러 가지 평가들이 엇갈리고 있는 만큼 여러 판본들 간의 차이는 주목해야만 한다. 따라서 당시 이뤄진 개작이 과연 탁월한 것이었는지에 대한 평가는 본고에서도 결코 놓쳐서는 안 될 부분임에 틀림이 없다.


참고문헌
최인훈, 「광장」, 『현대한국문학전집16 최인훈集』, 신구문화사, 1967
, 「광장」, 『최인훈전집』Ⅰ, 문학과 지성사, 1989,
, 「광장」, 『한국소설문학대계42 광장 外』, 동아출판사, 1995

1) 단행본
강인정, 『밀실의 인간 광장의 인간』, 한샘출판사, 1994
김윤식 정호웅, 『한국 소설사』, 문학동네, 2004
변화영, 『전후 소설과 이야기 담론』, 역락, 2007

조지프 굴든, 김쾌상 역,『한국전쟁』, 일월서각, 1982

2) 논문
김현, 「사랑의 재확인」,『최인훈전집』Ⅰ, 문학과 지성사, 1989
유종호, 「소설과 정치적 함축 - 『광장』과 『회색인』의 경우」, 『세계의문학』, 1979년 가을호
이동하, 「최인훈의『광장』에 대한 재고찰」, 『현대소설의 정신사적 연구』, 일지사, 1989
이재선, 「현대소설의 탈출과 방랑의 모티프」, 『현대소설의 서사주제학』, 문학과 지성사, 2007
이태동, 「나목의 꿈」, 『한국현대소설의 지평』, 민음사, 2005,
임헌영, 「최인훈의 작품세계」, 『한국문학전집』, 삼성당, 1987
장수익, 「회의적 주체와 타자에 대한 사랑」, 『한국 현대소설의 시각』, 역락, 2003
장양수, 「이념 충돌로 설 곳 잃은 인간의 절망」, 『한국현대소설 작품론』, 국학자료원, 2008
조경덕, 「전후 소설에 나타난 구원과 죽음의 성찰」, 『현대소설연구』36, 한국어문학회, 2006
최갑진, 「한국 현대소설이 갖는 바다의 인식지형」, 『해양문학을 찾아서』, 집문당, 1994
홍사중, 「脫出과 挫折 - 廣場」, 『현대한국문학전집16 최인훈集』, 신구문화사, 1967

3) 신문기사 및 웹페이지
"최인훈 소설 광장 10번째 개작한다", 『한국일보』, 2010. 2. 8.

문학과 지성사, http://www.moonji.com/


키워드
한국문학사, 이명준, 문학사, 한국, 광장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