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 서세동점과 한국의 대응 2. 서양인이 본 조선사회 3. 천주당에서 서양 신부를 만나다 4. 서유견문 (서구를 유람하고 보고 들었다) 본문 제 9장 서유견문에서 압축근대까지 : 한국의 근대경험 1. 서세동점과 한국의 대응 (1) 험난한 개화, 자강운동의 길 조선의 근대화 운동은 중국의 대조선 정책에 영향을 받았다. 조선은 중국의 총리각국사무이문을 본떠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고, 중국과 일본에 각각 영선사와 조사시찰단을 파견하게 된다. 그 후 조선은 중체서용 을 기초로 하여 중국의 양무운동(서양의 기술만 수용)과 일본의 문명개화운동(적극적인 서구화)의 장점을 취사선택하는 실용주의적 정책을 취하기도 한다. 그리하여 조선은 개화정책을 추진한 기반을 마련하고 기술을 수용하기 위하여 유학생을 파견하고 문호를 개방하기 시작한다. 그 후 어윤중을 문의관으로 임명하여 조선과 중국의 관계를 호혜평등에 입각하여 재정립하려고 하였으나 중국의 거부로 양국관의 실질적 종속관계를 명문화하는 불평등한 통상조약 체결로 끝맺는다. 중국과의 대등한 관계에 대한 이상은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고자 한 중국의 침략정책이라는 벽을 넘지 못한다. 키워드 근대경험, 장, 근대, 압축근대, 서유견문 |
2017년 7월 31일 월요일
제 9장 서유견문에서 압축근대까지 -한국의 근대경험
제 9장 서유견문에서 압축근대까지 -한국의 근대경험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