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30일 일요일

고전문학 `김현감호 설화`와 `신도징이야기`에 대한 고찰

고전문학 `김현감호 설화`와 `신도징이야기`에 대한 고찰
[고전문학] `김현감호 설화`와 `신도징이야기`에 대한 고찰.hwp


목차

1. 들어가며
2. <김현감호 설화>와 <신도징이야기>의 갈등과 대응양상
2.1 <김현감호 설화>에서 나타나는 갈등과 대응양상
2.2 <신도징이야기>에서 나타나는 갈등과 대응양상
3. <김현감호 설화>와 <신도징이야기>의 비교
4. 나오며

※ 참고문헌


본문

1. 들어가며

<김현감호 설화>와 <신도징이야기>는 일연의 삼국유사에 실린 이야기다. 이 작품들에서는 각기 다른 두 호녀(虎女)가 등장한다. 하나는 <김현감호 설화>에서는 스스로를 희생하여 김현과 세 오라비를 구한 여성상을, 또 하나는 <신도징이야기>에서는 남편과 자식을 버리고 산으로 사라진 여성상을 보여준다. 이에 대해 <김현감호 설화>의 호녀는 숭고한 자기희생을 보여주었고 <신도징이야기>의 호녀는 호랑이로써의 본성을 누르지 못했다는 평을 받는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은 과거 남성위주의 시각이 반영된 것으로, 현대적 남녀평등의 관점에서 볼 때 새로운 해석을 찾을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런 현대적 남녀평등의 관점으로 <김현감호 설화>와 <신도징이야기>에서 나타나는 갈등과 대응양상을 각기 분석하여 비교하겠다. 그리고 그를 통해 <김현감호 설화>에서 등장하는 호녀의 한계와, <신도징이야기>에서 등장하는 호녀의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1. 기초자료
<삼국유사>, 한국사데이터 베이스(http://db.history.go.kr/)2. 국내 논저
정출헌, <동양 : 삼국의 여성을 읽던 일연의 한 시각 ; <김현감호>의 경우>, 《문학과경계》 제 4권 제2호, 문학과경계사, 2004.
김정은, <호랑이처녀의 변신과 희생에 대한 대칭적 사고 고찰>, 《남도민속연구》 제 22집, 남도민속학회, 2011.



키워드
고전문학, 김현감호, 신도징이야기, 신도징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