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30일 일요일

국어음운론 `ㄹ` 탈락

국어음운론 `ㄹ` 탈락
[국어음운론] `ㄹ` 탈락.hwp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가. 정의
나. ㄹ 탈락의 고찰
다. 용례 및 설명
라. 규칙화
마. 문제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Ⅰ. 서론

국어에서 음소는 환경에 따라 다른 음소로 바뀌거나 아예 없어지는 등 변동을 겪는다. 이는 서로 다른 음소끼리 만났을 때 일어나는 충돌을 피하기 위해 나타나는 현상인데, 이것을 '음운 현상'이라고 한다. 음운 현상은 변화 양상에 따라 대치, 탈락, 첨가, 축약, 도치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탈락'은 한 음소가 일정한 조건에서 삭제 또는 생략되어 없어지는 현상인데, 본 글에서는 '탈락' 현상의 한 유형인 'ㄹ 탈락'에 대해서 음운론적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이어지는 본문에서 ㄹ탈락 현상의 특성과 출현 환경, 규칙화, 문제점 등을 구체적인 용례를 제시하여 설명할 것이다.


Ⅱ. 본론

가. 정의
'ㄹ' 탈락이란 어간 말에 위치한 'ㄹ'이 'ㄴ, ㅅ, ㄷ, ㅈ'과 같은 ' +설단성 ' 자음 앞에서 탈락하는 음운 현상이다. 'ㄹ' 탈락은 현대국어 이전 시기로 올라가면 더 많은 자음 앞에서 'ㄹ'이 탈락했지만 현대국어에 와서는 그 환경이 축소되었다.

나. 'ㄹ' 탈락의 고찰
(1) 'ㄹ' 탈락의 발생 시기에 대한 일반적 견해 : 14세기 (이기문,이세관 등)
근거 1) 훈민정음 이전의 차자표기에서 'ㄹ'탈락 현상 나타나지 않음
→ 그러나 이러한 근거를 단지, 훈민정음과 차자라는 표기상의 차이로 볼 뿐, ㄹ의 탈락이라는 음운현상으로 볼 수 없다는 견해도 있다.
2) 15,16세기 ㄹ탈락 수의적적용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홍석,「탈락 합성어 고찰」, 2008.
이동석, 「ㄹ탈락 현상의 적용 환경과 발생 및 소멸 시기에 대하여」, 한국어학회, 2000.
조학행ㆍ강희숙, 「/ㄹ/ 탈락과 언어 화석」, 한국언어문학회, 2000.


참고논문

기세관, <국어(國語) 단어형성(單語形成)에서의 /ㄹ/탈락(脫落)과 /ㄴ/첨가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 순천대학교
김옥영,「강릉지역어의 음운탈락현상 연구-최적성이론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도정업, 「어간말 ㄹ 탈락에 대한 통시적 고찰」,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동석, 「모음간 ㄹ탈락 현상에 대하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3.


키워드
국어음운론, 음운론, 국어, 탈락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