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 PDMS란? 2. PDMS의 특성 및 물성 3. PDMS의 활용분야 (나노수준) 4. Design 5. 보완점 본문 1. PDMS란? PDMS의 구조식 및 분자모형 Polydimethylsiloxane (PDMS)는 (CH3)2SiO 단위가 반복되는 가장 일반적인 organosilicone이다. 그 수를 다르게 한 단위체(n의 수)에 따라 cross-linking 정도가 발생하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물성을 가진 고분자를 제조할 수 있다. 윤활제, elastomer 또는 실리콘 오일 등이 상업적인 PDMS 상품의 대표적인 것들이다. Si-Cl 결합이 물에 대해 굉장히 감수성이라 그 결합이 잘 끊어진다. PDMS는 dichlorodimethylsilane을 가수분해하여 합성할 수 있으며 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n Si(CH3)2Cl2 + n H2O -> Si(CH3)2O n + 2n HCl Poltdimethysiloxane (PDMS) 는 chemical 과 thermal 에 모두 강하며 유연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도성이 없는 polymer 이기 때문에 제 참고문헌 1) http://www.wou.edu/las/physci/ch462/BouncingPutty.htm 2)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ical Engineering, 김현종 외 5명, Vol.13, No.2, p.2277, 2007 3) 국내 과학뉴스 나노나무 를 아시나요, 매일경제, 2005-12-13 14:42 4) 암과 혈관신생 암세포의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암 치료제(칼럼) 5) http://nanotechweb.org/cws/article/tech/43244 6) http://www.dowcorning.co.kr/KO_KR/content/discover/discoverchem/pdms-benefits.aspx (Dow Corning 社) 7) Nano Bar Coding For Bioanalysis, Prof.-Keating & Natan groups, Science 2001, 294, 137 8) http://www.shinetsu.net/product/Content.asp?FirstCode=1&SecondCode=2 (Shinetsu 社) 키워드 고분자공학, 활용분야, PDMS, 고분자, 분야 |
2017년 7월 29일 토요일
고분자공학 PDMS의 특성과 활용분야
고분자공학 PDMS의 특성과 활용분야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