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5월 30일 월요일

대학내 장애인 대학생 권리 문제 연구

대학내 장애인 대학생 권리 문제 연구
대학내 장애인 대학생 권리 문제 연구.pptx


목차
1.연구 주제

2.연구 방법 : 설문 조사 (서면 및 대면)

3.관련 기관 및 단체 조사

4.함의점 및 결론


본문
'대학 내 장애
학생들의 권리''

1.인식적 측면

2.제도적 측면

- 학습권
- 이동권
- 문화생활
- 취업

문제분석

-인식적 측면
-제도적 측면


현재 장애 학생의 학습권?

현재 장애 학생의 이동권?

현재 장애 학생의 문화향유권?

취업은?

장애인 대학생 대상
인터뷰 실시
(9명)-대면/서면방식

"정신장애에 대해 일반장애보다 인식이 열악하며
자폐 관련 편견, 헛소문, 약장수 약파는 식의 치료법 등이 만연하다."
"별 문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父)가 강제로 정신병원에 입원시켰고 이 때 너무나 (父)에게 협조적이었던 경찰 등에 불만을 가졌고, 현재도 해당 조직에 대한 불신이 남았다."
"장애를 알기 전 그 특성을 가지고 학교에서
따돌림을 받고 가족 한 명에게 학대를 받았다."
"인식적 측면에서는, 내가 장애인임을 밝히면 대우가 굉장히 조심스러워지거나, 아니면 역으로 '나는 너를 존중하려 애쓰지 않겠다'는 것처럼, 오히려 차별하는 경우가 심하다."


참고문헌
-이경림 박재국, 장애학생의 학생활응 실태 사회 지지에 한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제9권 1호

-연리지 협동조합
(http://www.hani.co.kr/arti/society/area/569875.html)

-김원형, 나는 차가운 희망보다 뜨거운 욕망이고 싶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의무고용제도
https://www.kead.or.kr/view/system/system02.jsp

-정소라 외3명, 장애대학생 교수 학습지원 사례집, 숭실대학교

-고려대학교 장애학생 지원에 한 규정

-김성희 외 10명, 2011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보건 복지부
-http://www.ablenews.co.kr/: 에이블뉴스
-카페 하이천사 (http://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13041609263969424)



키워드
권리, 문제, 장애, 연구, 장애인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