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목차 1. 연구배경 2. 자산관리사의 등장배경 2-1. 사회 경제적 변화 2-2. 개인 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사람들의 위기 인식 2-3. 법 체제의 변화 3. 자산관리사 3-1. 삼성생명 자산관리사 정의 3-2. 삼성생명 자산관리사의 구체적인 업무 내용 3-3. 삼성생명 자산관리사 이용 고객층 3-4. 삼성생명 자산관리사가 되기 위한 방법 4. 자산관리사는 전문직인가? 5. 결과에 대한 평가 및 소감 6. 한계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7. 참고문헌 본문 1. 연구배경 불과 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땀 흘려 벌어들인 돈을 알뜰살뜰하게 꾸려서 은퇴할 때까지 높은 이자를 주는 은행에 꼬박꼬박 저축을 하면 별 어려움 없이 살 수 있었다. 풍족하지는 않아도 저축한 돈으로 자녀도 교육시키고 집도 장만하고, 또 노후생활도 그럭저럭 보낼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사정이 달라졌다. 아끼고 또 아끼고, 은행 문턱이 닳도록 성실하게 저축을 해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비용을 감당할 수가 없다. 왜 그럴까? 과거와는 무엇이 달라져 개인 자산관리의 중요성이 이토록 높아진 걸까? 그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소위 새롭게 등장한 자산관리사란 직업에 대해 알아보자. 우리는 또한 본 연구에서 삼성생명 내에서 일을 하고 있는 자산관리사에 대해 조사하였다. 2. 자산관리사의 등장배경 2-1. 사회 경제적 변화 1997년 금융 위기를 겪은 이후 우리 사회는 저금리 시대에 진입했다. 한국은행 자금부 자료에 의하면, 1997년 11월말 CD금리가 연 15.5%였던 것이 그 당시 12월 말 연 25.0%까지 상승하기도 했다. 그러나 2011년 8월 말 CD금리는 연 3.59%로 과거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은행 이자에 따른 소득을 전혀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1970년대 오일쇼크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은 1929년 대공황 이후 주류였던 정부주도의 경제 체제를 무너뜨리고 작은 정부와 시장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 경제체제로 전환되었다. 노동시장의 유연화 및 금융시장 자유화, 우루과이라운드와 WTO로 대변되는 시장개방정책은 세계경제를 빠르게 회복시켰으며 세계 경제가 전례 없는 호황을 누리게 했다. 그러나 2007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된 금융위기는 전 세계로 퍼져가 경제구조를 도미노처럼 하나씩 무너뜨리게 했고 이것으로 한 세대를 이끌어온 신자유주의시대가 막을 내렸다. 위기에 빠진 경제를 회복시키기 위해 각국 정부는 시장에 개입하여 각종 규제를 강화하고 양적완화 정책을 경쟁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2008년부터 2년간 미국은 700억 달러의 자금을 풀었고, 그 이후로도 천문학적인 자금을 시장에 내보냈다. EU도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 회원국들의 경제위기가 타 회원국에게 전파되는 것을 막기 위해 막대한 유로를 지원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도 '일본은행의 윤전기를 빙빙 돌려 무제한으로 돈을 찍어 내겠다'고 선언한 뒤 엔화를 시장에 계속 풀고 있다. 참고문헌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 왜? 자산관리를 해야 하나, 2011.12 고찬태 금감원 대전지원장, 「충청투데이, 2013.03.19, <자산관리 α투자가 답이다> 인플레이션을 해지하라, 2013.02.20, 헤럴드경제 은퇴파산 막는 자산관리 3원칙, 2013.01.29, MK뉴스 한일 고령화의 영향과 파급효과, 2007.08.03, 삼성경제연구소 직장인 체감 정년퇴직 나이 48.8세, 2013.01.24, 동아일보 직장인이 원하는 정년퇴직 연령은 몇 살?, 2012.06.19, 경향신문 키워드 관리, 사의, 직무, 조사, 등장배경, 등장 |
2016년 5월 31일 화요일
자산관리사의 등장배경과 직무 조사
자산관리사의 등장배경과 직무 조사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