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 目 次 - Ⅰ. 들어가며 Ⅱ. 萬波息笛 說話의 分析과 解釋 Ⅲ. 萬波息笛 說話의 歷史的 背景 Ⅳ. 說話의 傳承과 變化 Ⅴ. 나가며 본문 Ⅰ. 들어가며 三國遺事 에서는 新羅의 國寶, 즉 新羅三寶를 전하고 있다. 眞興王대에 만들어진 皇龍寺丈六尊像, 眞平王의 天賜玉帶, 그리고 善德女王대에 만들어진 皇龍寺九層木塔이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 三國遺事 에서는 이후 신라의 寶物을 두 가지 더 소개하는데, 그것이 萬波息笛과 黑玉帶이다. 그중에서도 萬波息笛은 三國史記 , 新增東國輿地勝覽 , 林下筆記 등의 문헌에서 발견되고 그와 관련된 기사와 시문 역시 여러 편 발견되고 있다. 하지만 三國史記 에서는 '괴이하여 믿을 수 없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으며, 이후 萬波息笛 설화를 언급한 문헌에서 역시 이를 신라의 설화 정도로 소개하고 있다. 실제로 三國遺事 에는 神話나 說話의 성격을 가지는 기사가 많아, 그것을 그대로 역사적인 사실로 받아들이기는 어려운 점이 많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三國遺事 의 내용을 그저 허황된 옛날이야기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三國遺事 는 신화적 요소와 역사적 요소가 공존하는 저작이다. 또한 三國遺事 는 삼국시대에 대한 綜合文化史를 담고 있어, 역사 문학 민속 예술 등 여러 분야에 대한 다각도의 기록을 찾아볼 수 있고, 따라서 삼국시대의 생생한 시대적 분위기를 밝히는 데 많은 해답을 제공해주고 있다. 三國遺事 에 실린 說話 역시 신화적 요소, 즉 허구적인 요소와 역사적 요소가 공존하고 있다. 그것이 삼국시대 당대의 시대 분위기를 밝히기 위한 중요한 열쇠임은 말할 것도 없다. 설화들에 대한 연구 역시도 이와 같은 시점에서 이뤄져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설화가 역사적인 사건 혹은 배경에 의해 만들어졌고, 또 그것이 당대의 필요성에 의해 확산된다는 점을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것이 후대에 전승되고 변모하는 과정 속에도 역사적인 배경과 의도가 담겨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참고문헌 舊唐書 三國史記 三國遺事 新唐書 국사편찬위원회 편, 한국사 9, 국사편찬위원회, 1998. 김영하, 新羅中代社會硏究 , 일지사, 2007. 末松保和, 新羅史の諸問題 , 東洋文庫, 1954. 박해현, 신라 중대 정치사 연구 , 국학자료원, 2003. 성낙주, 에밀레종의 비밀 , 푸른역사, 2008. 송효섭, 초월의 기호학 , 소나무, 2002. 이미니시 류 저/이부오 하시모토 시게루 역, 신라사 연구 , 서경문화사, 2008. 하일식, 신라 집권 관료제 연구 , 혜안, 2006. 김남형, 萬波息笛 설화의 역사적 의미 , 한국학논집 38,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9. 김수태, 新羅 神文王代 專制王權의 확립과 金欽突亂 , 신라문화 9,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92. , 新羅中代 專制王權과 眞骨貴族 , 서강대 박사학위 논문, 1990. 김열규, 三國遺事의 神話論的인 문제점 , 三國遺事의 新硏究 , 新羅文化宣揚會, 1980. 김영숙, '萬波息笛' 說話의 傳承과 詩的 變貌 樣相 : 朝鮮時代 詠史樂府를 중심으로 , 신라문화 11,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90. 김은숙, 8세기의 新羅와 日本의 關係 , 國史館論叢 29, 국사편찬위원회, 1991. 김상현, 萬波息笛說話의 形成과 意義 , 한국사연구 34, 한국사연구회, 1981. , 新羅三寶의 成立과 그 意義 , 東國史學 14, 1980. 김철준, 統一新羅 支配體制의 再整備 , 한국사 3, 국사편찬위원회, 1978. 박진구, 萬波息笛 考 , 강원민속학 6, 강원도민속학회, 1990. 朴村誠, 統一新羅の官僚制 , 日本古代史講座 6, 學生社, 1982. 배병삼, 통일 이후를 위한 만파식적의 정치학적 독해 , 창작과 비평 104, 1999. 서영교, 九誓幢 완성 배경에 대한 新考察 -羅唐戰爭의 餘震- , 한국고대사연구 18, 2000. 윤선태, 752년 신라의 대일교역과 바이시라기모쯔게(買新羅物解) : 쇼소인(正倉院) 소장 貼布記 의 해석을 중심으로 , 역사와 현실 24, 한국역사연구회, 1997. 이기동, 新羅 中代의 官僚制와 骨品制 , 新羅 骨品制度와 花郞徒 , 일조각, 1984. , 新羅 興德王代의 정치와 사회 , 新羅社會史硏究 , 일조각, 1997. 이기백, 新羅 上大等考 , 新羅政治社會史硏究 , 일조각, 1974. 장장식, 萬波息笛說話의 硏究 , 국제어문 , 6,7, 국제어문학회, 1986. 주보돈, 南北國時代의 支配體制와 政治 , 한국사 3, 한길사, 1994. 한기호, 만파식적설화연구 , 연민학지 9, 연민학회, 2001. 황수영, 新羅 狼山의 陵旨塔에 대하여 ,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17,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96. , 新羅梵鐘과 萬波息笛 說話 , 신라문화 1,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84. 키워드 배경, 만파식적 |
2016년 5월 31일 화요일
만파식적의 형성과 역사적 배경
만파식적의 형성과 역사적 배경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