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이론 (칸트의 도덕철학, 공리주의) 2.줄거리 3.줄거리 분석 4.토론주제 5.맺음말 본문 윤리, 도덕이란 무엇인가 윤리 : 사람이 사회 생활을 위해 마땅히 해야할 도리 (인간 관계) 도덕 : 마땅히 해야 할 도리 (당위 규범 → ~해야 한다, ~하지말아야한다) 도덕법칙 : 도덕적 행위의 기준이 되는 법칙 (모든 인간이 준수해야 하는 보편타당한 행위원리) ->목적론 : 선(善)이라는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 법칙론 (의무론):무조건 지켜져야 하는 것 (준수 자체가 선) 칸트의 도덕철학 도덕철학이란? 행위와 마음가짐에 관한 선악의 가치판단, 양심의 작용에 대한 철학적 설명 칸트의 도덕철학의 특징 도덕적 선의 기준 → 감성이 아닌 이성에 의한 의지결정에서의 추구 *칸트의 인간의 도덕적 행위의 유일한 동기 : 의무감 (선의지), 정언명령 칸트 도덕철학의 맹점 ①도덕적 행위의 결과에 대한 고려가 없다 ②선의의 악행을 도덕으로 규정하지 않는다. 공리주의 -> 이러한 한계로 공리주의의 대두 (밴담, J. S. Mill)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공리주의 : 공리성, 유용성(utility)가 가치 판단의 기준 즉, 결과론적 행동의 결과가 도덕성을 판단 벤담 : 양적 공리주의 J.S Mill : 질적 공리주의 (만족한 돼지가 되는 것보다는 불만족한 인간임이 좋고, 만족한 바보보다는 불만족한 소크라테스가 좋다.) 하지만 공리주의 역시 한계가 존재 -> 다수를 위해서 소수의 희생 가능, 가치척도의 문제 키워드 죄와벌, 인간, 고찰 |
2016년 5월 29일 일요일
`죄와벌`속 도덕적 판단과 인간의 도덕성 고찰
`죄와벌`속 도덕적 판단과 인간의 도덕성 고찰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