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아동학대의 이해 2.아동학대로 인한 심리사회적 문제 3.아동학대 보호 사업 4.아동학대에 관한 제도 5.아동학대에 관한 프로그램 6.학대피해아동보호를 위한 의료기관과의 협력방안 7.학대피해아동 사례 8.Q&A 본문 1) 아동학대의 정의 아동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이나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신체적 정신적 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 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 것을 말한다. 2) 아동학대의 유형 3) 아동학대의 현황 피해아동 성별 및 연령 → 2012년에서는 피해아동은 남자보다 여자가 더 많았고, 피해아동은 9세~15세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 부모로 인한 문제 - 학대자의 신체적 특성과 성격구조 결함에 의해 빚어지는 아동학대 아동양육에 대한 지식부족 / 지나친 기대 / 잦은 가정의 위기 / 정서적 욕구불만 / 사회적 고립 / 어릴 적 학대 받은 경험 / 알코올 중독 약물중독 / 부모의 그릇된 아동관 및 양육관 / 부모의 낮은 자아존중감, 낮은 감성, 의기소침 / 부모의 분노, 좌절 혹은 성적욕구와 같은 충동과 감정조절의 무능력 / 원치 않는 아동 / 부모의 불안, 우울증, 기타 정신질환 - 아동자신의 특성에 초점을 둠. - 아동은 유전학적으로 형성된 신체적 또는 행동적 특성을 통해 학대를 유발시킬 수 있음. 미숙아, 기형아, 지체아 / 만성 혹은 급성질환아 / 정신지체, 장기질환 아동 / 미혼모 아동 / 입양아 / 많은 자녀가 있는 가정의 아동 / 원하지 않는 자녀 /미혼관계 또는 가족여건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 태어난 자녀 / 심히 고집스럽게 울거나 밤에 잠을 자지 않고 보채는 아기 - 그러나 아동요인이 학대의 유발인자인지, 학대로 인한 결과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키워드 의료기간, 의료기간의, 의료기, 간의, 의료, 기간 |
2016년 5월 30일 월요일
아동학대 프로그램과 의료기간의 협력 방안
아동학대 프로그램과 의료기간의 협력 방안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