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본문 1. 문제제기 '부끄러운' 과거에 대한 부정으로부터 현실을 구축한 '아버지 죽이기'의 세대가 '아버지'가 될 만큼의 시간이 흘렀다. 과거에 대한 망각과 눈앞에 있는 현실에 대한 천착이 새로운 세대의 생존조건이 된 것은 아닌지 의심스러울 만큼 우리는 눈앞의 일에만 몰두하고 있다. 끊임없이 되풀이되는 적응과 부적응의 판단 속에서 삶에 대한 진지한 고민은 사리진지 오래다. 삶에 대한 성찰이 곧 단거리 육상경기 와중에 홀로 멈춰 서서 크게 한 숨 돌리는 것과 같아졌다고나 할까? 불행하게도 우리는 삶의 이유와 삶을 이끌어나갈 질문이 없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오늘날을 살아가는 대다수의 새로운 세대에게 역사는 곧 나와는 상관없는 세상의 이야기다. 우리의 인식 속의 역사는 감정적인 차원에서 나의 자부심을 고취하거나 분노하게 하는 기록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과연 역사는 과거에만 존재하는가? 오늘날의 현실은 과거로부터 단절된 채 형성되었는가? 또, 우리의 현실을 설명하는 작업은 현재에 대한 고찰만으로 완수될 수 있는가? 역사는 과거인 동시에 현실이며 오늘날을 설명할 가장 중요한 변수 가운데 하나다. 역사의 내력이 우리 심층에 존재하며 여전히 다양한 양태로 발현되기 때문이다. 우리는 현재를 알기 위해, 당면한 자신의 삶에 대해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 그리고 그럼으로써 나아가고 또 궁극적으로 삶의 이유와 삶을 이끌어갈 질문을 던지기 위해 역사를 바라볼 필요가 있다. '조선에서의 유교국가, 유교사회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답하고자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그렇다면 조선을 관통하여 나타나는 특성은 무엇이었으며, 또 그것은 어떤 양태로 현대 민주주의 정치 질서 속에서 반복되고 있는가? 조선을 가능한 한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자들이 주목한 것은 '처사' 혹은 '산림'이라는 존재였다. 이들의 존재와 존재가능성, 그리고 이들에 대한 사회의 처우나 이들이 공유하고 있었던 도덕률은 조선의 특성이자 오늘날의 대한민국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선조의 유산을 드러내주는 중요한 변수이다. 참고문헌 1. 문제제기 2. 성리학적 정치 질서와 산림 (1) 성리학적 정치질서 (2) 산림 3. 기존 연구 검토 및 비판 (1) 기존 연구 검토 (2) 비판적 접근 4. 도학 정치라는 규제적 이념 5. 규제적 이념이 지배하는 삶, 사회, 국가 6. 경제민주화, 허상인가 실제인가? : 18대 대선의 새로운 정당성 기제 7. 맺음말 《참고문헌》 1. 단행본 - 김수진(2008), 『한국 민주주의와 정당정치』, 백산서당. - 우인수(1999), 『조선후기 산림세력연구』, 일조각. - 유종일 손석춘(2012), 『경제민주화가 희망이다-손석춘 묻고 경제학자 유종일이 답하다』, 알마. - 이덕일(1997), 『당쟁으로 보는 조선 역사』, 석필. - 임마누엘 칸트 지음; 백종현 역(2006), 『순수이성비판』, 아카넷. - 정구선(2005), 『조선시대 처사 열전 : 벼슬과 부를 멀리하고 느리게 살다간 재야 선비의 삶』, 서울 : 서경문화사. - 한국경제연구원(2012), 『경제민주화의 함정- 민주화 분배 동반성장 화려한 구호 뒤에 숨어 있는 치명적 진실』, 한국경제연구원. 2. 논문 - 김석근(1995), 「조선시대 군신관계의 에토스와 그 특성 비교사상적인 시각에서」, 『한국정치학회보』 Vol.29 No.1, 한국정치학회. - 李佑成(1980), 「朝鮮 前期 性理學과 士大夫」, 『한국학논집』,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최한규 연명모(2009), 「조선조 성리학적 군신관계(君臣關係)의 권력구조 연구: 삼봉(三峰)과 다산(茶山)의 비교분석」, 『한국행정사학회』 Vol.25, 한국행정사학회. 3. 뉴스기사 - 신정훈(2013.6.19.), 「 경제민주화 속도조절론 급부상 경제민주화 후퇴논란 가열」, 한국일보. (http://news.hankooki.com/lpage/politics/201306/h2013061903310821000.htm) 키워드 정치, 성리학적, 조선의, 성리, 사회학, 조선 |
2016년 5월 30일 월요일
사회학 조선의 성리학적 정치 질서와 특수성
사회학 조선의 성리학적 정치 질서와 특수성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