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주제 선택 이유 2.문제의 인지 -시민단체 -학회 -정부 3.정책 형성 과정 -외부 주도 모형 4.기존 정책의 한계 5.문제의 정의 6.현 정책 집행 7.급여자격조건 8.정책의 판단 -실현가능성 -바람직성 9.에필로그 본문 주제 선택 이유 꾸준한 국제결혼으로 다문화가정의 자녀는 지속적으로 증가 결혼이민자 수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자녀도 증가함으로써 이들 자녀에 대한 정책에 중요성을 인식하게 됨 문제의 인지 다문화가정 자녀 정책 정부 1. 결혼이민자가족 및 혼혈인 전국 실태조사 실시 2.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 제정 추진 3.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 운영 확대 및 전문화 제1회 건강가정기본계획(2006-2010) 1. 다문화가족 유아 등의 언어발달 지원사업 확대 2. 학교 부적응 자녀 지원을 위한 인프라 활성화 제2회 건강가정기본계획(2011-2015) 즉, 초기 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과 사회적응 중심에서 점차 다문화자녀 양육과 보육, 교육지원 중심으로 확대 정책 형성 과정 - 외부 주도 모형 결혼이민자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사회문제로 이슈화되고 시민단체가 이들을 대변하고 전문가들이 논리적인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정부에서 다문화가족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대한 의제가 형성됨 참고문헌 2012 다문화가족지원사업결과보고서-다문화가족자녀언어발달지원사업, 여성가족부&한국건강가정진흥원 2012 다문화가족 방문사업 사족생활지도사 양성교육교재 - 다문화가족자녀 언어발달지원 사업안내, 다누리 홈페이지 - 다문화가족방문교육대상자모집 안내문, 다누리 홈페이지 제2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3~2017), 여성가족부, 2012 - 김현민 외 2명, 다문화 사회 정책적 이슈에 대한 고찰, 2008 조세현 외 2명,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성과지표의 구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2013 제1차 건강가정기본계획(2006~2010) 제2차 건강가정기본계획(2011~2015) 2013 다문화가족지원사업안내 문성식 외 2명, 다문화가정의 이해, 2012 이재분, 다문화가족자녀의 결혼이민 부모출신국 언어습득을 위한 교육지원사례연구, 2010 법무실무연구회, 다문화가정 지원 및 정착 도우미, 2010 키워드 가정, 발달, 언어, 언어발달, 지원사업, 다문화가정 |
2016년 5월 29일 일요일
다문화가정 자녀의 언어발달 지원사업
다문화가정 자녀의 언어발달 지원사업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