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설계제목 2.설계목적 3.서론 4.설계이론 5.설계방법 6.결론 7.참고문헌 본문 1. 설계제목 -인공고관절과 PLGA를 이용한 생체적합성이 우수하고, 손상된 골 조직재생에 우수한 bone cement 설계 2. 설계목적 21세기로 접어들고,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인간의 수명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노인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노인의 건강 문제는 큰 사회적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에 이미 UN이 정한 고령화시대에 진입하였으며, 2026년에는 노인 인구 비율이 20%가 넘는 초고령 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인공고관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추세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설계에 임하려고 한다. -고관절 대체수술에 사용될 인공고관절을 설계한다. -인공고관절을 체내에 삽입하기 위한 골 시멘트(Born Cement)를 설계한다. -각 재료들의 생체적합성을 높이기 위해 적절한 표면개질법을 적용한다. -설계한 최종 재료의 여러 제한 요소를 자체적으로 평가해본다. 3. 서론 성공적인 임플란트를 위해서는 일정한 길이와 직경의 매식체가 식립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부위에는 골 이식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여러 재생적 치료법이 발달되었다. PLGA는 외과영역에서 생체친화성 때문에 흡수성 봉합사, plate, screw로 사용되었다. PLGA는 물리적 및 화학적 수정을 통해 좀 더 개선된 형태와 물성으로 골결손부에 적용될 수 있다. PLGA에 다공성을 부여 하는 경우에는 조직재생을 위한 비계로 사용할 수 있다. 분해시간을 조절하거나, 성장인자, cytokine과 호르몬 같은 생활성분자의 분비를 촉진할 있는 기능을 첨가한다면 보다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토끼 두개골 결손부의 골재생에 대한 poly(lactide-co-glycolide) (PLGA)의 영향 (대한치주과학회지 2009;39:167-176) - 생체재료연구소 http://biomaterials.kist.re.kr/index.asp - <생체재료과학(Biomaterials)>, J.S.Temenoff, A.G.Mikos 공저 - 대한 고관절 학회지(http://www.khs.or.kr) 제17권 3호 <골시멘트> 키워드 인공, 고, 생체재료과학, 과학, 생체, 설계 |
2016년 5월 31일 화요일
생체재료과학 인공 고 관절과 PLGA를 이용한 bone cement 설계
생체재료과학 인공 고 관절과 PLGA를 이용한 bone cement 설계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