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 서설 2. 혼례복문화의 특징 3. 혼례복의 형태 4. 상복문화의 특징 5. 상복의 형태 6. 혼례복과 상복의 변천 7. 향후 과제 본문 01. 서설 민간풍속사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는 혼례와 상례의 의복 혼례복 문화의 특징 Q. 신랑, 신부에게는 신분과 상관없이 대군과 명부의 옷이 허용되었을까? ◆ 신랑 혼례복의 구성 - 사모관대 ◆ 신부 혼례복의 구성 Q. 활옷의 화려한 무늬가 상징하는 것은 무엇일까? Q. 연지곤지는 언제부터 왜 생겼을까? 신라인의 발명품 연지와 곤지 재혼하는 여성은? 키워드 한국사, 상징성, 상징, 고찰, 일상의례복, 일상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