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목차 1. 프로필 1-2. 들어가기 전에 . 2. 속도학 = 질주학(dromology) 3. 속도와 전쟁 4. 속도와 영화 5. 현대사회와 비릴리오 본문 1. 프로필 1-2. 들어가기 전에 . 1) 비릴리오의 사상은 현대 사회가 가지는 속도에 대한 혁신을 긍정적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이의를 제기하고 실재를 찾아내려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2) 비릴리오가 세계를 보는 관점 → '현상학과 질주학' 우리가 체화한 지각으로 세계공간을 경험하고 의식을 가지게 된다고 봄. 에드문트 후설(1859~1938) : 세계를 파악하는 통로로서 감각 지각의 중요성 강조. 참고문헌 폴 비릴리오, <소멸의 미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이안 제임스, <속도의 사상가>, 앨피 강진숙, 강진숙,장유정,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원격현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26(6), 2012.11, 7-45 (39 pages) 문병호, <가속화 과정으로서의 근대화>, 담론 201 11(3), 2008, pp. 35 - 59 정의진, <정보화 사회와 속도―폴 비릴리오의 속도조절정치>,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학논총 25, 2011.2, 23-49 (27 pages) 키워드 영상매체, 비릴리오, 매체, 사상가, 현대사회, 사회 |
2016년 5월 31일 화요일
현대사회와 영상매체-속도의 사상가 폴 비릴리오
현대사회와 영상매체-속도의 사상가 폴 비릴리오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